print

파미셀, 코로나 진단키트 원료 독점적 공급에 급등세 [증시이슈]

세계 공급 점유율 80% 장악
수요 늘자 생산시설 증설 중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파미셀 본사. [사진 네이버지도]
국내 원료의약품 제조사 파미셀(Pharmicell)이 3일 오후 전일 대비 23% 이상 급등, 상한가 1만3250원을 기록하며 1만2550원 전후에서 거래되고 있다.  
 
파미셀이 코로나19 진단 키트(시약)를 만드는 원료 의약품 물질 중 하나인 ‘뉴클레오시드 세계 생산 점유율이 80%로 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가가 급등한 것이다.  
 
뉴클레오시드는 코로나10 진단 키트 시약은 물론,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로 각광 받고 있는 유전자 치료제 등에도 쓰인다. 이 분야 원료 생산 점유율이 거의 독점적이다. 뉴클레오시드 누적 매출액은 지난해에만 3분기까지 약 112억원에 이른다. 코로나19 세계 대유행으로 인해 누적 매출액이 전년보다 121%나 증가했다.  
 
파미셀이 뉴클레오시드를 수출하면 미국 써모피셔(ThermoFisher), 독일 머크(Merck) 등 제약사들이 가공 작업을 거쳐 진단 키트나 핵산 치료제를 만드는 또 다른 해외 업체들에게 공급한다. 파미셀은 지난해 12월 21일 써모피셔와 102억원 규모의 뉴클레오시드 공급 계약을 맺었다.  
 
파미셀은 뉴클레오시드 종류를 20종으로 늘리고 품질 개선 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지난해 전세계에서 수요가 급증하자 생산시설을 추가 증설하고 있다. 125억원을 들여 조성 중인 울산 원료의약품 제2 공장은 올해 6월 완공될 예정이다. 이 곳이 완공되면 뉴클레오시드 생산능력이 50%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파미셀은 올해 의료기관들과 협력해 줄기세포를 이용한 유전자 분석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

실시간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