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이통3사 엇갈린 알뜰폰 전략, 누가 웃을까

LG유플‧KT는 시장 활성화 SKT는 소극적 대응
도입 취지 무색해진 알뜰폰 시장 규제는 변수

 
 
LG유플러스가 중소 알뜰폰 사업자와의 공동 파트너십 프로그램인 ‘+알파’를 론칭했다.[연합뉴스]
알뜰폰 산업 활성화를 위해 이동통신업계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가장 적극적인 건 LG유플러스다. 이 회사는 지난 6월 ‘U+알뜰폰 파트너스’의 브랜드를 ‘+알파’로 새롭게 확장했다. U+알뜰폰 파트너스는 2019년 론칭한 LG유플러스의 알뜰폰 중소 사업자 상생 프로그램이다. 셀프개통 서비스, 공동 마케팅, 제휴카드 할인, 제휴처 할인쿠폰, 공용 유심 등 다양한 지원을 해왔다.  
 
+알파는 U+알뜰폰 파트너스 프로그램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했다. 업계 최초로 오는 3분기부터 장기고객 케어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무료 데이터 제공, 노후 유심 교체 등 특별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LG유플러스 매장에서 알뜰폰 고객에게 가입 상담, 요금 변경 등의 서비스도 지원한다.  
 
또한 카카오모빌리티, SPC와 연계한 알뜰폰 전용 구독형 제휴 요금제를 구성했다. 각 기업의 서비스에서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제휴 요금제 라인업을 향후 금융, 쇼핑, 간편결제 등으로 확대하고, 환경·헌혈 등과 연계한 ESG 요금제도 선보일 계획이다.
 
KT는 이동통신 3사 중 최초로 알뜰폰 통합 CS 채널 ‘마이알뜰폰’을 개설했다. KT 이동통신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고객은 요금제·사용량 조회 및 청구·납부 변경이 가능하다. 고객 서비스 인프라 확대가 어려운 중소 알뜰폰 사업자와 알뜰폰 고객 편의 증진을 위해 마련했다. KT는 하반기 내 마이알뜰폰 전용 앱을 출시하고 고객 셀프 개통, 요금제 변경, 알뜰폰 사업자별 요금제 간편 검색 등 온라인 서비스를 추가 제공할 예정이다.  
 
KT는 알뜰폰 통합 CS 채널 ‘마이알뜰폰’을 개설했다.[사진 KT]
상생과 협력을 키워드로 알뜰폰 시장에서 존재감을 넓히는 LG유플러스·KT와 달리 경쟁사인 SK텔레콤은 잠잠하다. 시장 상황을 따져보면 당연한 행보다. 기존 이동통신 시장에서 가장 많은 가입자를 확보 중인 SK텔레콤은 LTE·5G 고객이 알뜰폰으로 옮겨가면 ARPU(가입자당 평균 매출)이 줄어든다.  
 
소위 객단가가 높은 LTE·5G 고객을 확보하는 게 더 유리한 SK텔레콤 입장에선 구태여 출혈 경쟁을 벌일 이유가 없는 셈이다. SK텔레콤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알뜰폰 자회사 철수를 요구한 의원 질문에 “논의가 철수 쪽으로 결정 나면 따르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반면 KT·LG유플러스는 상황은 다르다. 통신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알뜰폰 고객을 유치해 SK텔레콤의 시장 점유율을 뺏을 수 있다.  
 
일단 시장 공략에 공을 들이는 두 사업자의 전략은 현재까지 순조롭다. 이통3사는 자회사를 통해 직접 알뜰폰 소매 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점유율을 보면 LG유플러스와 KT의 영향력이 막강하다. 지난 2월 기준 LG유플러스 계열(미디어로그·LG헬로비전)의 시장 점유율이 22.1%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KT계열(KT엠모바일·KT스카이라이프 19.3%)이었다. SK텔레콤의 SK텔링크는 9.6%에 그쳤다.
 
망을 제공하고 알뜰폰 사업자로부터 대가를 받는 알뜰폰 도매대가 시장에서도 KT·LG유플러스의 위상이 두드러진다. 지난 5월 기준 KT망을 쓰는 알뜰폰 고객은 587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LG유플러스가 323만명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SK텔레콤 망을 쓰는 알뜰폰 고객은 228만명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와 비교하면 KT망을 쓰는 가입자 수는 79만명이 증가했고, LG유플러스는 94만명이 늘었지만 SK텔레콤 망을 쓰는 고객은 10만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다만 이들의 시장 확장이 언제든 가로막힐 수 있다는 점은 변수다. 중소 알뜰폰 사업자들이 대기업의 무분별한 점유율 확장과 시장 진출을 제한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어서다. 국회는 이통사 알뜰폰 자회사를 규제하는 법안을 발의해 법제화를 꾀하고 있고, 공정거래위원회도 관련 이슈를 주시하고 있다.  
 
중소 알뜰폰 업체 관계자는 “대형 이동통신사가 가입자 수 1000만명을 돌파한 알뜰폰 시장 성장에 크게 기여한 건 맞지만, 이대로 흘러가면 이통3사를 견제하겠다던 알뜰폰의 도입 취지가 무색해질 것”이라면서 “자본력에서 경쟁 우위에 밀린 중소 알뜰폰 사업자도 생존할 수 있는 중장기 로드맵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다린 기자 quill@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휘발유 가격 5주째 상승세…“다음주에도 오른다”

2올리브영 입점했더니 매출 ‘껑충’…K-뷰티 생태계 재편

3“오거스타에서 샷을~” 제주 명품 테디밸리 골프앤리조트

4소상공인 공략에 최선 다하는 통신 3사

5중국에 17년간 참패한 韓 가전…C-커머스 확산에 더 어려워진 반등

6국내 뷰티 시장 점령한 CJ올리브영...해외 진출은?

7“중국차, 낯설지 않아”...이젠 집 앞까지 파고든다

8한국축구 40년만에 올림픽 좌절…홍준표, 한국축협회에 또 ‘쓴 소리’

9민희진 vs 하이브 '노예 계약' 공방...진실은 어디로

실시간 뉴스

1휘발유 가격 5주째 상승세…“다음주에도 오른다”

2올리브영 입점했더니 매출 ‘껑충’…K-뷰티 생태계 재편

3“오거스타에서 샷을~” 제주 명품 테디밸리 골프앤리조트

4소상공인 공략에 최선 다하는 통신 3사

5중국에 17년간 참패한 韓 가전…C-커머스 확산에 더 어려워진 반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