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미 연준, 금리인상 ‘안갯속’…한미 금리차 1.5%p 되면 무슨 일이?
- 다음 주 13~14일(현지시간) 올해 마지막 FOMC
Fed 금리 인상 속도…미 고용지표가 변수
2000년 5월 한미 금리 차 1.5%p 확대 돼…당시 코스피 500선 무너지기도

시장에선 미 연준이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졌지만, 여전히 과열된 미 고용시장 지표가 나오면서 또 다시 자이언트스텝(0.75%포인트 인상)의 불안감이 커진 상황이다.
美고용시장 과열 여전, 연준의 긴축 명분 실어주나
하지만 11월 미국 일자리 시장에서 예상을 깨고 여전히 과열돼 있다는 지표들이 발표되면서 연준의 금리 정책도 다시 안갯속으로 돌입한 모양새다. 11월까지 연준이 4회 연속 자이언트스텝을 밟아 왔는데도 물가를 자극할 수 있는 고용 시장이 여전히 식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연준의 긴축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이론에 힘이 실리고 있다.

연준이 고강도 긴축 정책을 펼치고 있음에도 노동시장이 냉각되지 않으면서 이에 따른 물가 추가 상승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이런 이유로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브루킹스연구소 연설에서 “인플레이션이 잡히기 위해서는 고용시장이 진정돼야 한다”며 “임금 상승률이 인플레이션을 낮추기에는 (현재) 너무 높다”고 말한 바 있다.
2000년 5월 한미 금리 차 1.5%p… 확대주식 시장 변동성↑
하지만 한은 금통위는 12월에 개최되지 않고 미 연준만 열리는 만큼, 한미 금리 차는 더 확대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연준이 빅스텝을 단행해도 한미 금리 차는 1.25%포인트로 확대되고 자이언트스텝 시 1.5%포인트로 벌어진다.
한미 금리 차가 1.5%포인트로 확대된다면 이는 2000년 5월 이후 두 번째다. 당시 미 연준의 금리는 6.50%, 한은은 5.00%를 기록한 바 있다. 당시 코스피 지수는 2000년 2월부터 한미 금리 차가 1%포인트 이상 차이 나기 시작하면서 10월에는 500선 아래로 무너지기도 했다. 10월 이후 미국의 금리가 다시 떨어지면서 2001년 1월에야 동률을 기록했고, 이후 다시 한은의 금리가 더 높아진 바 있다.

김승혁 NH선물 연구원은 “미 연준의 긴축 속도 조절에 견고한 고용은 긍정적 재료가 아니기에 지표 발표 직후 달러는 급등했다”며 “다만 고용지표 호조가 레저, 정보 및 IT, 부동산 관련 업종에만 집중돼 있고 제조업, 소매 등 대부분 업종에서 둔화세를 보였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달러는 상승 폭을 반납했다”고 평가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12월 FOMC 전 파월 의장의 발언이 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 기대를 확대했다”며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Fedwatch)에서는 0.50%포인트 인상 가능성이 75% 수준으로 올라섰다”고 설명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공수처 "대통령실서 'VIP 격노' 관련 자료 확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황재균, 경사 났네... “방금 삼촌됐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명함 20장 두께”…역대 가장 얇은 ‘갤럭시’ S25 엣지 혁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대출·코어 이어 '밸류애드' 자금 푸는 국민연금…국내 부동산시장 볕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이종서 앱클론 대표 "2028년 로열티 매출 본격 발생"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