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은 정원주 회장이 지난 27일부터 28일까지 싱가포르를 방문해 싱가포르 국부펀드 산하 아시아 최대 부동산개발사인 케펠랜드(Keppel Land)와 캐피탈랜드(Capitaland Investment)의 CEO와 면담하고 글로벌 부동산개발사업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고 30일 밝혔다. 정 회장은 앞서 지난 13일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방문을 시작으로 현지 발주처 및 정부 관계자들과 연이어 접촉하기도 했다
“부동산 시장 위기는 항상 반복됐다. 얼마나 충격을 덜 받느냐가 중요한 문제인데, 알스퀘어가 발품 팔고 땀으로 얻어낸 진짜 데이터야말로 탄탄한 사업 구조(structure)를 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최근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의 단짝이자 사업 동료로 유명한 찰리 멍거 부회장이 미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닥칠 위기를 경고하며 업계가
부동산개발전문 종합건설업체 KD가 해외자원 개발 및 판매업에 진출한다고 4일 밝혔다. KD는 부동산개발사업과 전자통신부품을 제조하는 전자사업을 두 축으로 하는 코스닥 상장 기업이다.주력 분야인 부동산개발사업을 살펴보면 2013년부터 상업시설부터 업무시설, 오피스텔, 주택사업 등까지 다양한 건축물을 공급해왔다. 특히 지난해에는 부동산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연결
건설사들이 새로운 먹거리를 찾기 위해 부동산개발사업(디벨로퍼)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원자잿값 급등으로 인한 공사비 증가로 시공사업의 수익이 줄고, 주택 사업에서 핵심이었던 도시정비사업에서도 잇단 출혈 경쟁으로 수익성이 저하됐기 때문이다. 16일 한국부동산개발협회에 따르면 829개사가 회원사로 등록돼 있다. 2005년 정춘보 초대회장(신영그룹 회장)을 중심
“현장에서 답을 찾고, 제로베이스에서 현장 중심으로 역발상을 해야 한다.”(김승배 한국부동산개발협회 회장) 14일 한국부동산개발협회가 서울 코엑스에서 ‘KODA 비전 컨퍼런스’ 개최하고 ▶도시 공간과 삶의 미래 제시 ▶국민의 공간 수요 구현 ▶지속적인 사회공헌 수행 등의 3가지 미래 비전을 선포했다. 이 자리에는 김승배 한국부동산개발협회 회장을 비롯해 정
롯데건설과 미래에셋증권이 세계시장에서 신규 부동산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롯데건설은 26일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에서 미래에셋증권과 ‘부동산 개발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공동출자를 통해 투자법인을 세우고 전략적 파트너로서 국내는 물론 해외 신규 부동산개발사업 발굴에 나선다. 롯데건설은 프로젝
국내 1위 디벨로퍼 DS네트웍스와 국내 탑티어(top-tier) 부동산개발금융 회사 마스턴투자운용이 세계적 디벨로퍼로 도약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DS네트웍스가 마스턴투자운용에 전략적 제휴와 지분 투자를 단행하면서다. 5일 투자금융(IB)업계에 따르면 DS네트웍스는 마스턴투자운용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마스턴투자운용의 지분 일부를 인수하는 데 약 180억원을 투입한
수많은 기업이 미래 성장동력으로 ‘바이오’를 지목하고 사업에 진출하고 있지만 정작 제약‧바이오기업은 새로운 영역에서 기회를 모색 중이다. 신성장동력을 찾기 위해, 불확실성이 큰 신약개발사업의 위험을 헤징하기 위해 제약‧바이오 외 사업을 노린다는 분석이다. 이들의 새로운 도전과 그간의 성과, 의미를 짚어본다. 세 번째로 살펴볼 기업은 GC녹십자그룹이다. 혈액
에스앤비는 부동산 개발사업과 분양마케팅, 주거·상업용부동산 컨설팅 회사다. 지난해 분양 마케팅으로만 10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최근에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지상 최고 25층 3개 동 규모의 주상복합단지를 개발하고 있다. 회사를 이끌고 있는 김승석 대표 역시 종합건설회사에서 잔뼈가 굵은 부동산 전문가다. 서울 잠실에 우뚝 서 있는 롯데월드타워. 지상 123층 높이 555m의
청약시장은 실수요 시장으로 재편...수익형 부동산 보유자는 금리 인상 대비 과열 국면이던 부동산시장이 다소 진정되는 분위기다. 8·2 부동산 대책 이후 주택 거래량이 급감하고 청약시장이 위축되는 등 대책의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8월에만 1만4746건에 달했던 아파트 거래량이 9월 들어 8336건으로 44%나 감소했다. 10월에는 3817건
1대기업 바라기 청년들?…임금 격차 무시 못해
2해외는 열고, 한국은 막고…가상자산 거래소 격차 커진다
3"교육비 감당 어쩌나?"…교육물가 금융위기 이후 최대 상승
4 미국 관세 강행, 지수 선물 일제 폭락…나스닥 5%↓
5‘일단 안된다’는 당국…경쟁력 잃는 국내 거래소들
6정부·대학·기업, 청년 취업난에 팔 걷어붙였다
7‘쉰’ 청년 늘었다…“기업·대학 협력 늘리고 제도 손 봐야”
8IPO 공모자금 투자 약속 어디로…장기 미집행 빈번
9계엄에 산불까지...‘백척간두’ 韓 경제, 성적표 살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