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주인 없는데서 너거들 머하노?
| 일러스트-김회룡 | 향토 빅3 몰락 후 서울 대기업·지역 후발업체 틈새 놓고 다툼 IMF 외환 위기로 혹독한 시련의 시기를 맞았던 대구 지역 건설시장이 춘추전국시대를 맞고 있다. 대구 건설업계 빅3라 불리며 시장을 장악했던 청구·우방·서한 등이 각각 법정관리의 길을 걸으면서, 틈새시장을 노린 지역 후발업체들과 서울 지역 대기업 건설업체들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것. 특히 이들 빅3가 전국적으로 장악했던 아파트 시장을 둘러싼 다툼이 치열하다. 이와 함께 몰락한 3인방들은 회생을 위해 헉헉거리고 있지만 아직 그 회생 수준은 미미한 상태다. 5년 전 터진 IMF 위기는 대구 지역 건설업계에 직격탄을 날렸다. 전국으로 발돋움하던 청구·우방·보성 등 업체들이 잇따라 쓰러졌다. 이들은 IMF 몇 달 전인 1997년 1월 그 해 ‘한국주택문화상’ 시상식에서 대기업들을 제치고 나란히 금·은·동상을 수상할 만큼 잘 나가던 업체들이었다. 사실 대구의 아파트 시장은 IMF 이전만 해도 전국 굴지의 대기업들도 넘보지 못하는 철옹성으로 불렸다. 그만큼 어떤 대기업도 소위 대구 건설 3인방의 아성을 뛰어넘지 못했다. 청구·우방·보성이 지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비싼 프리미엄이 붙어 거래되고 이 같은 현상은 대구뿐만 아니라 분당·일산 등 수도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이처럼 지역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던 대구 건설업체가 몰락하자 지역 경제계에도 엄청난 먹구름이 끼었다. 97년 외환위기가 나던 해 건설 3인방의 도급액만 1조5천억원에 이르렀다. 그러나 그로부터 5년이 지난 지금은 대구 지역 도급 순위 1∼10위 기업의 도급액을 전부 합해도 1조원대에 턱걸이하고 있다. 그 탓에 IMF 체제에 들어간 지 5년이 지난 지금 대구를 서울·부산에 이은 전국 3대 도시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대구에서조차 드물다. IMF 이후 5년의 세월을 보내면서 대구 건설 시장에 나타난 빅3 공백은 아직 메워지지 않고 있다. 97년 3만3천9백96가구에 이르던 대구 지역 아파트 건축허가 건수는 지난해 겨우 2만4천7백38가구로 70% 수준을 회복했을 뿐이다. 그것도 서울 등 외지 기업의 대구 진출에 힘입은 결과였다. 부동산 분양이 왕성했던 올해조차도 10월 말 현재 1만8백50가구로 지난해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 틈에 대구 건설업체의 몰락으로 만들어진 공간은 요즘 서울의 거대 기업과 지역 마이너 그룹에 속했던 기업들의 각축장이 됐다. 대구 진출 엄두를 내지 못하던 서울의 대형 건설업체들은 엄청난 자금력과 시공능력을 앞세워 무주공산이 되다시피 한 대구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대림·대우·코오롱 등이 그 주인공들이다. 올 들어 대구지역에 공급된 1만여 가구의 아파트 중 약 30% 정도가 이들 대기업에 의해 이뤄진 것으로 추산된다. 거꾸로 빅3의 위세에 눌려 기를 펴지 못하던 화성산업·영남건설 등은 ‘위기는 곧 기회’라는 인식 아래 사세를 확장해 가고 있다. 이들이 최근 빅3를 대신해 다시금 수도권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것도 흥미롭다. 요즘 대구 건설시장은 절대 강자도 절대 약자도 없는 상황인 셈이다.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