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계소득 올해도 ‘게걸음’
지난해 경기침체 여파로 가계경제의 주름살이 깊어졌다. 통계청에 따르면 2인 이상 도시근로자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지난해 2백93만9천원으로 2002년의 2백79만2천원에 비해 5.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 1999년의 4.3%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소비자물가를 감안한 실질소득은 이보다 낮은 1.6% 증가에 그쳐 외환위기 당시인 98년(-13.3%) 이후 최저 수준이다. 소득원천별로 보면 근로소득은 오히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근로소득은 2백59만3천원으로 지난해보다 8.9% 증가했고, 2002년의 7.7% 증가에 비해 개선됐다. 문제는 경기에 큰 영향을 받는 사업소득이나 재산소득이 크게 악화된 점이다. 사업소득은 2002년 대비 6.0% 감소해 98년(-3.8%) 이후 5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재산소득은 이자소득과 임대소득의 감소로 2002년보다 20.9%나 줄어들어 2000년(-1.9%) 이후 3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퇴직일시금 등 비경상소득은 2002년에 비해 무려 14.1% 감소, 감소폭이 2002년(-9.4%)보다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시근로자의 씀씀이는 2002년에 비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의 월평균 가계지출은 2백28만1천원으로 2002년 대비 6.8% 증가, 2002년(3.8%)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소비지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식료품비는 외식비 증가(15.1%) 등으로 2002년 대비 7.0% 증가했다. 교육비는 납입금과 교재·참고서에 대한 지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보충교육비보다 지출이 큰 폭으로 늘어나며 지난해보다 11.1% 증가했다. 소득 증가를 웃도는 소비 증가로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은 74.6%로 전년보다 1.0%포인트 상승했다. 도시근로자의 가계지출이 확대된 것은 가계버블의 후유증으로 민간소비가 크게 위축되었다는 현실과는 상반된 결과다. 이처럼 지출확대-소비감소라는 서로 다른 결과가 나타난 것은 근로자에 비해 자영업자들이 경기침체의 영향을 더욱 크게 받아 이들의 지출이 상대적으로 크게 악화됐음을 의미한다. 올해는 도시근로자가구 소득의 큰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지난해처럼 큰 폭의 임금인상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중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임금인상률은 9.7%에 달했다. 일반적으로 임금인상이 전년도 기업실적에 기초한다는 것을 감안할 때, 작년의 극심한 경기침체는 올해 임금인상률이 작년보다 둔화될 것이라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가계소득 증가세 둔화는 도시근로자가구 연간소득의 약 83%(2003년 9월 말 현재)에 달하는 가계부채의 원리금 상환 부담과 맞물리면서 올해 가계의 구매력 회복을 어렵게 할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민간소비의 회복은 상당 기간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트럼프 "우크라 휴전 협상 진전 없으면 중재 그만 둔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박나래, 절도 사건 언급…”많은 일, 일주일 사이 휘몰아쳐”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4배 폭등 끝 ‘급전직하’ 상지건설…장 마감후 대규모 CB 전환 공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