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개 상품 난립, 판매액 2조 넘어…부동산 펀드 ‘안전핀’ 확인이 우선
90개 상품 난립, 판매액 2조 넘어…부동산 펀드 ‘안전핀’ 확인이 우선
원금보장 위한 안전장치 필요 이처럼 부동산 펀드는 지식이나 자금이 부족해 부동산에 투자하기 어려운 투자자들이 손쉽게 다가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연 7~8%대 이상의 높은 수익률을 제시하고 있어 고수익 상품으로 크게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무턱대고 투자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 대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리스크를 자산운용회사가 과연 통제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부동산 개발업체들은 가장 먼저 은행을 찾아가 저리의 대출자금을 조달받기 위해 애쓸 것이다. 은행 역시 우량 대출처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사업성만 괜찮다면 대출을 못해줄 이유가 없다. 그러나 부동산 펀드를 통해 보다 많은 부담을 안고 자금을 유치하는 것은 은행을 이용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제2 금융권을 이용할 만큼 사업성을 인정받지 못했다는 뜻도 된다. 부동산 펀드가 고수익률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은 그만큼 위험이 높기 때문이라는 것도 알아야 한다. 자산운용회사에 있는 부동산 펀드 관련 운용 인력들이 아직은 장기간 운용성과를 갖고 있지 못하다는 점도 중요하다. 객관적인 펀드 실적으로 운용인력들의 전문성을 평가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결국 자산운용회사가 잘할 것이라는 막연한 믿음을 가지고 투자하거나 아니면 부동산 펀드의 사업안을 완전하게 이해하고 투자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높은 위험을 감안했을 때 부동산 펀드로 기대하는 수익률은 결코 높지 않다는 점 역시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연간 7~8%대에 달하는 수익률은 현 시점에서 예상할 수 없는 각종 구조적인 위험과 장기간 자금이 묶이는 유동성 리스크를 감안한다면 높은 수익률이라고 할 수 없다. 이런 점을 충분히 이해하고 투자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부동산 펀드는 원금보장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안전장치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반드시 따져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긴 운용기간 중 중도환매가 금지되므로 충분한 여윳돈을 가지고 투자해야 한다. 특히 빌딩이나 상가 등 수익형 부동산을 구입해 임대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분해 주는 부동산 펀드는 최소 5년 이상의 중장기 상품이므로 장기 투자자금으로 투자해야 한다. 미국 등 선진국은 취급하지 않아 결국 아무리 안정적인 상품처럼 포장돼 있는 부동산 펀드라도 투자실적에 따라 성과를 배분하는 간접투자 상품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자금이 장기간 묶이거나 손해를 볼 수도 있다는 점을 반드시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부동산 펀드에 가입하기 전에 점검해 봐야 할 것이 몇 가지 있다. 우선 자산운용사가 부동산 펀드를 운용하고 관리할 전문인력을 충분히 갖췄는지 따져야 한다. 그리고 운용사에서 밝힌 전문인력들이 부동산 펀드와 관련해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지도 체크 포인트다. 부동산 펀드는 무엇보다도 정확하고 객관적인 사업분석과 진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대응하는 펀드 매니저의 운용역량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또 제아무리 각종 안전장치를 설계해 놓았다고 하더라도 사업 자체가 부진하다면 결국 부동산 펀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부동산 펀드가 추진하는 프로젝트가 사업성이 있는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아무리 시공사가 보증하거나 여러 가지 안전장치를 해놓았다 하더라도 분양이 안 되거나 사업허가가 나지 않으면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부동산 펀드가 추진하는 프로젝트의 사업성이 양호한지 나름대로 따져봐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부동산 사업의 주체인 시행사나 보증기관인 시공회사가 튼튼한지도 따져봐야 한다. 예를 들어 주택분양이 안 될 경우 시공회사가 인수하는 것으로 안전장치를 마련했다고 해도 다른 사업으로 시공회사가 어려운 지경에 빠진다면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시행사의 경우도 부동산 대출의 상대회사인 데다 법률행위의 주체인 점에서 신용도가 있는 곳인지 살펴야 한다. 끝으로 고수익을 줄 것이라는 등의 막연한 기대보다는 자산배분 차원에서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능한 한 주식이나 채권펀드 중심으로 투자자산을 장기간 운용하고 부동산 펀드 투자는 많은 투자대안 중 하나로 고려해야 한다. 미국과 같은 선진국의 경우 대형 자산운용회사들이 부동산 펀드를 거의 취급하지 않고 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부동산 펀드의 규모도 약 3000억 달러에 불과하다. 이는 8조 달러에 달하는 뮤추얼펀드의 4%에 못 미치는 규모다. 특히 우리나라와 달리 부동산 펀드의 90%는 임대사업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대출용 부동산 펀드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홍준표 "기업 살아야 한국이 산다...투자하는 기업엔 얼마든지 특혜를 줘도 상관 없어"
2미국투자이민 새 기준 국민이주㈜, VIP 미국영주권 세미나 개최…예비 신청자 기대감 모아
3컴투스 ‘스타시드’, 출시 하루만에 태국 구글 인기 게임 1위
4지씨셀 떠난 제임스 박 대표...롯데바이오로직스로
5S&P "내년 한국 기업 신용도 둔화 가능성 높아"
6자본시장법으로 '주주 충실 의무' 보장한다…정부안, 여당 협의 후 국회 제출 계획
7김준수 협박해 8억 갈취한 30대 여성 BJ, 끝내…
8'내가 고라니라니' 낚시하다 공기총 기습 '탕탕'
9우리금융, 그룹 통합 슈퍼앱 ‘뉴 우리WON뱅킹’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