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내년 한국 기업 신용도 둔화 가능성 높아"
'한국 기업 신용 동향' 리포트 발간
이차전지·철강·화학...하방 압력↑

S&P는 2일 '한국 기업 신용 동향: 2025년 힘겨운 등반'(Korean Corporate Credit Trends: An Uphill Climb In 2025) 보고서를 통해 "한국 기업은 수요 둔화, 경기 민감 업종의 비우호적 수급 상황, 정책 불확실성을 겪고 있다"며 "이드 기업의 영업 환경이 악화하고, 부정적 등급 전망 비중도 높아졌다"고 했다.
S&P가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공개한 신용 평가 결과를 보면, 신용도를 하향 조정 기업의 수와 비교했을 때 신용도를 상향 조정한 기업 수의 비율을 뜻하는 등급 상하향 배율은 1.4배로 지난해와 동일했다.
이 중 신용 등급 전망이 '부정적'인 기업 비중은 지난해 말 5.3%였다. 하지만 올해는 18.4%로, 약 15%포인트(p) 늘었다. 신용 등급 전망이 '안정적'인 기업 비중은 92.1%였지만, 올해는 81.6%로 줄었다.
가령 SK하이닉스와 현대차·기아 등은 신용도가 상향 조정됐다. LG에너지솔루션, LG화학, 한화토탈에너지스, 두산밥캣 등은 신용도가 하향 조정됐다.
다만 S&P는 이들 기업의 신용도 조정 여부가 섹터별로 차별화되고 있다고 봤다. 특히 이차전지와 철강, 화학 기업이 하방 압력을 맞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차전지 제조사의 경우 계속되는 설비 투자로 인해 차입금이 늘었지만, 북미와 유럽의 전기차 수요가 정체되며 실적 부담이 커졌다. 철강과 화학 부문은 수요 약세가 이어져, 중국발 공급 증가로 인해 판매 가격이 하락했다.
완성차 기업은 어려운 영업 환경 속에서도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모델로 양호한 실적 흐름을 이어갔다. 인공지능(AI) 관련 수요가 고대역폭 메모리(HBM)의 수요 성장으로 이어져 이와 관련한 메모리 제조사들의 수혜가 예상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