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Special report] “해외 진출·M&A가 성장 지름길”

[Special report] “해외 진출·M&A가 성장 지름길”

2003년에 ‘카드대란’으로 심각한 위기를 맞았던 국내 카드산업은 지난 몇 년간 부실채권 정리와 구조조정으로 활력을 회복했다. 2003년 말 14.1%에 이르던 국내 신용카드사의 연체율은 2007년 6월 말 현재 3.8%로 떨어졌다. 반면 총 자산이익률은 같은 기간 -20.3%에서 9.3%로 수직 상승했다. 그러나 이런 화려한 변신의 뒷면에는 한국 카드산업의 미래를 불투명하게 만드는 불안 요인도 산재해 있다. 무엇보다 국내 카드시장의 성장 여력이 크지 않다는 점이다. 카드시장이 커지려면 카드 사용을 동반하는 소비가 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경제 성장, 인구 증가, 카드 보급률의 확대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경제는 고성장을 멈추고 저성장 궤도에 진입한 상태이며, 저출산 현상으로 조만간 인구도 감소할 전망이다. 더구나 국내총생산(GDP) 대비 신용카드 이용액은 43.8%로 대부분의 선진국보다 높다. 1인당 신용카드 보유 수도 3.9장에 이르기 때문에 카드 보급률을 끌어올리기도 쉽지 않은 현실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국내 카드사 사이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시중 자금이 증시로 몰리면서 자금 조달 비용이 불어나 시중 은행의 순이자 마진이 줄어들자 은행들이 너도나도 신용카드 사업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시중 은행들은 대체 수익원을 확보하기 위해 카드영업을 강화하고 있다. 이런 경쟁 격화에 따라 카드 모집 비용이 늘면 카드사 또는 은행 카드 부문의 수익성이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회원 유지비의 증가는 일회성 비용이 아니기 때문에 카드사의 장기적 이익 창출 능력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실제로 국내 전업계 카드사의 모집 비용은 2006년에 67% 증가한 데 이어, 2007년 상반기에도 41.5%나 늘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카드사들의 영업환경까지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카드사들은 최근 가맹점 수수료의 원가산정 표준안에 따라 중소형 가맹점들의 수수료율을 인하했다. 이에 따라 신용카드사 영업수익의 절반을 차지하는 가맹점 수수료 수입이 감소할 전망이다. 예컨대 BC카드가 가맹점 수수료율을 16.7~28.4% 정도 인하하겠다고 발표했다. BC카드의 2006년 신용판매 규모는 212조원에 이르렀다. 여기에 신용카드사의 대손충당금 적립 기준이 형평성 차원에서 은행계 카드 부문과 같은 수준으로 강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전업계 카드사로선 그만큼 부담이 커지는 셈이다. 국내 카드사들은 시장 포화와 경쟁 격화, 그리고 영업환경 악화란 악재를 어떻게 이겨내야 할까. 정책 변화에 따른 영업환경 악화는 카드사들이 해결할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시장 포화와 경쟁 격화에 따른 대응 방안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먼저 국내 카드시장의 성장 한계는 해외 진출을 통한 신시장 개척으로 극복할 수 있다. 가령 신용카드가 막 보급되기 시작한 중국과 인도 등은 신용카드 보급률이 낮은데다 인구가 많고 경제성장 속도도 빠르다. 소비 증가와 카드 보급률 확대 등에 따른 카드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크다는 얘기다. 최근 은행계 카드사의 약진으로 비은행계 카드사가 수세에 몰려 있다. 그러나 해외에서는 이미 진출한 모회사나 관계사의 브랜드 이미지를 등에 업고 연계 상품 등을 적극 개발해 시장을 공략한다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은행계 카드사도 해외 진출이 활발한 모 은행과 손을 잡고 나서면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카드시장의 경쟁 격화 문제는 적극적 기업 인수·합병(M&A) 전략으로 극복할 여지가 있다. 신한카드는 LG카드를 인수하면서 국내 1위, 아시아 1위, 세계 10위로 올라섰다. 이 사례에서 보듯 M&A는 경쟁업체를 줄여 해당 시장의 경쟁 상황을 누그러뜨리는 부수 효과도 거둘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현재 국내 대형 카드사는 대부분 대형 금융지주회사나 은행의 자회사라서 이들을 선뜻 인수하기 어렵다. 그러나 뒤집어 생각하면 대형 지주회사나 은행의 자회사라 다른 카드사를 인수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쉬운 것도 사실이다. 게다가 대형 M&A가 여의치 않을 경우 다수의 소형 M&A도 고려할 만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119회 로또 1등 번호 1·9·12·13·20·45…보너스 번호 3

2“손흥민 아니었어?”…토트넘 팬이 뽑은 올해의 선수는

3‘법원 전산망 해킹’ 개인정보 유출…北 소행 결론

4홍준표 “좌우 공존하는 선진대국시대…마지막 꿈일지도”

5유승민 “野 25만원 특별법은 위헌…민주당의 악성 포퓰리즘”

6주유소 기름값 내림세…휘발유 가격 7주 만에 내려

7정부, 법원에 '의대증원' 자료 49건 제출…내주 집행정지 결정

8홍천서 올해 첫 진드기 SFTS 사망자 발생

9비트코인, 전일 대비 3.2%↓…6만 달러 위태

실시간 뉴스

11119회 로또 1등 번호 1·9·12·13·20·45…보너스 번호 3

2“손흥민 아니었어?”…토트넘 팬이 뽑은 올해의 선수는

3‘법원 전산망 해킹’ 개인정보 유출…北 소행 결론

4홍준표 “좌우 공존하는 선진대국시대…마지막 꿈일지도”

5유승민 “野 25만원 특별법은 위헌…민주당의 악성 포퓰리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