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중심 품질 경쟁력으로 유럽시장 노크
소재중심 품질 경쟁력으로 유럽시장 노크
지난해 대대적인 CI 작업을 단행한 마이스코. 세계적인 특수강 단조 브랜드가 되겠다는 결심이다. |
“뜨겁게, 시원하게, 믿음직스럽게.” 촌스럽게 들리는가? 하지만 기술자에게 이런 솔직한 진정성은 소중한 미덕이다. 경상남도 김해시 내삼농공단지에 자리 잡은 ㈜마이스코의 사훈을 보며 그런 생각이 들었다.
제철・제강소에서 만들어진 원통형 쇳덩어리(잉고트), 쇠막대(블룸), 철판(슬래브)은 번쩍이는 은색의 금속부품으로 태어나기 앞서 단조공장을 찾는다. 여기서 쇠붙이들은 뜨거운 열로 뻘겋게 달궈지고 커다란 프레스에 눌리고 두들겨지면서 보다 강하고 치밀한 조직을 얻는다.
“쇳물을 부어 만드는 주물보다 단조를 통해 양질의 금속이 얻어진다”고 이택영 한밭대학교 재료공학과 교수는 말했다. 망치소리 요란했던 옛날의 대장간을 떠올려 보라. 오늘날 단조공장의 조상이다. 현대화되고 대형화되면서 망치와 해머가 무게 수천, 수만t의 프레스로 바뀌었을 뿐이다.
사실 단조는 시원하게 식히는 과정에서 비로소 마무리된다. 마치 대장장이의 집게에 잡힌 쇠붙이가 물속에서 ‘치익’ 소리를 내면서 단련의 과정을 끝내듯 말이다. “물에 집어넣기도 하고 공기 중에 내놓기도 하고 혹은 열처리로에 넣어 열을 가하면서 서서히 식히기도 한다”고 마이스코 박해웅 경영관리팀 상무이사는 말했다.
금속마다 식히는 방법이 여럿이란다. 그러고 보니 사훈은 단조의 은유였던 셈이다. “거기에 믿음직스러운 품질을 보탠 거죠.” 단조를 마친 금속은 가공공장에서 갈고닦는 연마과정을 거쳐 최종 부품으로 납품된다. 1993년 설립된 종업원 130명의 마이스코는 지난해 12월 5000만불 수출탑을 받았다.
지난 5년간 연평균 매출이 50%씩 성장했다. 2007년 889억원이던 매출은 1년 만에 171% 신장돼 1521억원을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단조업의 활황은 조선업의 활황으로 설명된다. 단조업계 1위로 꼽히는 태웅이 올해 매출 7000억원을 예상한다. 그 뒤를 잇는 평산, 용현BM 같은 회사들도 매출이 크게 늘었다.
최근 조선업의 고전이 단조업에도 영향을 미치긴 하지만 새롭게 떠오른 풍력과 원자력 발전이 또 다른 호재가 됐다. 매출순위로 따지자면 톱5의 막내인 마이스코는 지난해 1월 코스닥에 상장됐다. 하지만 “마이스코는 특수소재 단조품 생산의 선두기업”이라고 성기종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말했다.
다른 회사들이 상대적으로 저급 강재로 분류되는 탄소강과 로알로이(저합금) 위주인 반면 마이스코는 특수고급강인 스테인리스스틸과 수퍼알로이 전문이다. 업계 1위인 태웅 정도가 일부 스테인리스 단조기술을 보유했을 뿐이다. “마이스코는 특수합금 노하우가 많아 태웅과도 경쟁하지 않고 성장을 지속할 수 있다”고 성 애널리스트는 덧붙였다.
얼마 전 두산중공업에서 호화여객선이나 고속함정에 주로 사용되는 워터제트를 제작하려고 단조회사들을 대상으로 입찰공고를 냈는데 입찰 자체가 거의 무의미했다. 고급 스테인리스 강재인 듀플렉스를 단조해 내는 국내 회사는 마이스코뿐이었기 때문이다. 이 회사가 히든 챔피언으로 선택된 이유다.
“기술은 우리가 최고”라고 이상명 마이스코 대표이사는 힘줘 말했다. “고객사에서 이렇게 말한다. 큰 것은 태웅으로 가져가고 어려운 건 마이스코로 오라.” 그는 자신의 회사가 ‘리틀 태웅’으로 불리는 것에 “기분 나쁘다”고 했다. 업계매출 1위이자 코스닥 황제주인 태웅을 이을 재목으로 증권가가 마이스코를 꼽으며 붙인 별명인 데도 싫단다.
“우리의 경쟁상대는 국내기업이 아니라 일본과 유럽”이라고 이 대표는 말했다. 기술에 앞선 일본에 눌리고 비용이 싼 중국에 쫓기는 한국 기업들의 샌드위치 신세는 때로 경쟁력의 발판이 되기도 한다. “우리 업체들의 장점은 제품의 질과 가격, 그리고 납기다. 야간과 철야를 마다하지 않는 데다 기술은 다른 아시아 나라들보다 한 수 위”라고 박 상무는 말했다.
또한 IMF 구제금융 시기의 체험은 중요한 교훈을 남겼다. “한국 업체끼리 안 싸운다. 예전에는 해외업체가 국내회사들이 가격경쟁을 하도록 부추겨 그걸 이용해먹곤 했지만 이제는 아니다. 업계가 잘돼야 우리 회사도 잘된다는 인식이 높다.” 이상명 대표의 말이다. 이러한 인식변화는 수출 위주의 사업방향 덕분이기도 하다.
마이스코는 지난해 1년 만에 수출액이 2배 이상 증가했다. 총매출의 45%가 수출이다. 이는 다른 단조업체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최근 몇 년 새 한국 단조업체들의 설비투자가 크게 늘어 작업능력 또한 커졌다. 마이스코도 올해 말 800억원을 들여 신공장을 세운다. 4000t, 8000t 프레스 증설로 작업량과 매출이 비약적으로 늘어난다.
신공장 가동률이 100%에 이르는 2012년께면 생산능력이 25만t으로 현재보다 4배 이상 늘고 매출 또한 7000억~8000억원 규모로 껑충 뛴다. 수출비중은 70%를 넘어서게 된다. 한편 마이스코는 지난해 매출에서 일어난 한 가지 변화에 고무돼 있다. 300억원의 매출이 유럽에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전에 없던 현상이다. 새로운 시장이 생겨나고 있다”고 박 상무는 말했다. “단조의 본류는 이탈리아, 독일 등 유럽이다. 이게 70년대에 일본으로 넘어왔다. 이제는 한국으로 넘어오는 과정에 있다.” 지금까지 한국 업체들은 유럽이나 일본에서 다루기엔 너무 손쉽고 투박해 부가가치가 크게 높지 않고 또 다른 아시아 나라들이 다루기엔 기술이 좀 더 필요한 ‘중간 상품’을 전문으로 해왔다.
“이러한 구조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이상명 대표는 말했다. “우리는 유럽으로 갈 거다. 조선 매출이 몇 %, 발전・플랜트에 몇 % 하는 식으로 가지 않겠다. 소재와 재질 중심으로 가야 한다. 안 그러면 곧 중국에 따라잡히고 만다.” 실제로 유럽이나 일본의 단조회사들은 어떤 부품이냐보다 어떤 소재가 전문이냐로 업체의 특성을 이야기한다.
이 대표는 “유럽은 티타늄 공장은 티타늄만 하지만 우리나라는 다 한다”고 말했다. 고객사가 원하는 제품이면 무엇이든 만들어내는 한국 단조업의 강점이 곧 족쇄로 작용할지 모른다는 경고다. 하지만 그는 “우리는 지금 일본하고 충분히 경쟁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만 해외인지도가 낮아 손해를 본다. 브랜드를 키울 거다.
마이스코라는 메이커를 확실히 키우겠다.” 이를 위해 마이스코는 지난해 대대적인 CI 작업을 단행했다. 앞으로 이 회사가 얼마나 ‘뜨겁고 시원하며 믿음직스러운’ 행보를 이어갈지 주목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서진, 병역 면제 논란…우울·수면 장애에 가정사까지?
2홍준표 "기업 살아야 한국이 산다...투자하는 기업엔 얼마든지 특혜를 줘도 상관 없어"
3미국투자이민 새 기준 국민이주㈜, VIP 미국영주권 세미나 개최…예비 신청자 기대감 모아
4컴투스 ‘스타시드’, 출시 하루만에 태국 구글 인기 게임 1위
5지씨셀 떠난 제임스 박 대표...롯데바이오로직스로
6S&P "내년 한국 기업 신용도 둔화 가능성 높아"
7자본시장법으로 '주주 충실 의무' 보장한다…정부안, 여당 협의 후 국회 제출 계획
8김준수 협박해 8억 갈취한 30대 여성 BJ, 끝내…
9'내가 고라니라니' 낚시하다 공기총 기습 '탕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