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투자 정답 아냐!
장기투자 정답 아냐!
PB 연구회는 ‘1사(社) 1인(人)’ 가입을 원칙으로 2000년에 만들어진 재테크 전문가들의 모임이다. 지난 6월 9일 하나은행 본점 WM센터에서 이들을 만났다.
이원희(R&I 대표): 경기가 바닥을 쳤다는 얘기가 나온다. 어떻게 보나.
이건홍(KH투자연구소 대표): 많은 비관론자가 낙관론 쪽으로 돌아선 듯하다. 폴 크루그먼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여름철 말에 경기가 바닥을 통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에서 이명박 대통령,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가 비슷한 취지의 말을 했다. 현재 바닥을 지나고 있구나, 혹은 지났구나 둘 중 하나인 듯하다.
원연식(숭실대 PB학과 겸임교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경기를 부양한다고 미국이 수백억 달러를 찍었다. 돈을 풀면 인플레이션이 생길 수밖에 없다. 또 기업 수익이 악화된다. 사실 한국 기업은 달러화 대비 원화 약세 덕에 이익을 낸 거 아니냐. 이런 현상이 언제까지 가겠나? 더 무서운 바닥이 기다리고 있을지 모른다.
정경애(하나은행 WM센터 부장): 리먼브러더스가 파산 신청을 한 지난해 9월보다 국내 주식이 30% 정도 올랐다.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 덕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60조원가량의 주식을 순매도한 외국인이 4조~5조원쯤 주식을 샀다. 그래서 외국인 비중이 많이 낮다. 따라서 그렇게 쉽게 주식시장이 흔들릴 것 같지는 않다. 코스피지수 1300 언저리에서는 분할 매수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원희: 최악의 사태는 벗어났다는 데 모두 공감하는 듯하다. ‘W’자 형태로 또 한 번의 바닥을 겪을지 ‘나이키’ 형태로 완만하게 상승할지는 이견이 있는 것 같다.
이건홍: 주식시장이 좋은 건 맞다. 1400포인트 내외에서 움직이는데 잠시 쉬어갈 수 있다고 본다. 3분기에 주춤하다가 연말께 1600포인트 가까이 갈 것으로 전망한다.
원연식: 주식은 올해 안에 크게 오르지 않을 것이다. 이미 허리 이상 올랐다.
올 4분기 코스피는 1600
|
이원희: 그럼 주식에 투자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원연식: 박스권 시황에서는 배당주를 눈여겨볼 만하다. 12월 결산법인의 배당권리를 획득할 수 있는 6월 26일까지 배당주를 매수하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특히 SKT는 현재 주가가 연중 최저가라 더욱 투자 가치가 높다.
이원희: 3분기에 주춤하고 연말에 오른다는 의견이 많은 것 같다. 물론 원 교수의 지적대로 오히려 하락할 수 있다. 아직 불확실성이 분명 존재하니까. 부동산 얘기를 해보자.
최종성(대일에셋감정평가법인 이사): 경기 회복 형태를 ‘L’자로 본다. 호재와 악재가 함께 나타나 등락이 심할 것이다. 부동산은 레버리지(지렛대)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게 좋은데 지금 레버리지를 이용해서 투자할 때는 아닌 것 같다. 단기투자는 대출을 끼고, 장기투자는 자기 돈으로 하는 게 좋다. 사실 단기투자는 좀 불안하다. 현금성 자산으로 갖고 있다가 상승 시기에 사는 게 낫다.
서성기(38커뮤니케이션 대표): 부동산, 증권 모두 바닥에 사려고 욕심 내면 안 된다. 바닥을 치고 올라와도 확신이 들면 돈을 더 주고 사는 용기가 필요하다.
이건홍: 용기에 실천을 더해야 한다. 시장이 안 좋을 때 사면 가격이 내릴 가능성이 크다. 사고 나서 계속 가격이 내리면 정신적으로 불안하다. 하지만 그 순간이 지나면 오르는 건 순식간이다. 2003년 SK글로벌 채권 사태와 이라크 전쟁이 났을 때 부동산에 투자했으면 돈을 벌지 않았을까? 남들이 비관할 때 사는 실천력이 필요하다.
이원희: 여윳돈으로 장기투자 하는 게 낫다. 불안한 것은 좋지 않다.
원연식: 장기투자라고 다 좋은 게 아니다. 2000년 바이코리아 펀드 붐이 일었을 때 KT 주가가 20만원 정도까지 오른 적이 있다. 지금 3만6000원대다. 손녀한테 물려주는 펀드라고 샀는데 정작 물려줄 때는 4분의 1이 안 된다.
이원희: 통신주가 정책에 민감해서 그럴 수 있다. 주식도 트렌드가 있다. 한 사이클이 도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2000년에 정보통신(IT) 버블이 있지 않았나. 보통 한 사이클에 10년 정도라는데 손녀한테 물려줄 때는 오를 수도 있다.
이건홍: 장기투자를 강조하는데 반성할 필요가 있다. 2007년 말에 러시아 펀드에 투자한 사람은 원금을 회복하려면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다. 주가 역시 어떤 동기 없이 오르는 게 쉽지 않다. 막연히 장기투자만 믿지 말고 포트폴리오를 짜야 한다.
이원희: 몇 년 이상 투자해야 장기투자인가.
이건홍: 2년 이상?
정경애: 교과서적으로는 5~10년이 장기다.
원연식: 예전에는 10년이었지만 요즘 경기 순환이 빨라져서 2년으로 봐야 한다.
이원희: 다시 부동산 얘기로 돌아가자.
최종성: 과거 88년 서울 올림픽, 2002년 서울 월드컵 이후에 많이 올랐다. 건설 경기가 활황이 되고 정부 정책이 뒷받침해줘야 한다. 지금 적극적으로 나설 시기는 아닌 것 같고 실수요자 입장에서 오르기 전에 살 수 있는 기회는 맞다. 하지만 굳이 다른 곳에서 자금을 빼서 살 시기는 아니다.
이건홍: 어차피 포트폴리오에 부동산이 일부 있어야 하지 않나. 높은 수익을 위해서 사는 게 아니라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투자할 만하지 않을까?
부동산 실수요 아니라면 기다려야
|
요즘 계약이 많은 것은 대출 받아서 투자한 사람이 처분하는 물건이 많아서다. 이 물건들은 급매물로 소화되고 실수요자 위주로 거래된다. 현재 금리가 낮기 때문에 앞으로 올라갈 것이라 전망하면 레버리지를 이용하기는 위험하다.
원연식: 부동산에 투자한다면 어디가 좋겠나. 우리나라가 일본을 쫓아가는 것 같다. 일본이 과거 전철역 주변을 중심으로 도심을 개발했는데 아직도 가격이 안 내렸다. 서울 중구 무교동 같은 도심 내 재개발이 가능한 지역에 있는 빌라를 사두는 건 어떨까? 장충동 쪽에도 빌라가 많다.
이원희: 일단 재개발하면 보상, 철거 문제가 쉽지 않고 요즘 기업 사정이 좋지 않아 부동산개발(PF)이 활발하지 않다.
최종성: 도심 재개발이 있고 주택 재개발이 있는데 장충동 같은 기존 주택지는 주택 재개발이다. 종로의 세운상가, 용산 같은 곳이 도심 재개발 지역이다. 도심 재개발은 정부가 주도하지 않으면 진행되기 어렵다. 지금 살 이유가 없는 것 같다.
서성기: 7월에 9호선이 개통된다고 하는데 실제 이 지역 부동산 값이 최근에 많이 올랐고 개통되면 반드시 또 한 번 오른다. 토지는 돈이 풀리는 길목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투자하는 수밖에 없다. 재미있는 것은 전철 개통 같은 호재가 생기면 처음에 소식 들릴 때, 공사 시작할 때, 개통할 때 등 계단식으로 값이 오른다. 따라서 몇 년 동안 투자할지 미리 정하지 않으면 손해 볼 수 있다.
최종성: 서울 서부역 뒤쪽부터 용산까지 주목을 많이 받았고 실제 많이 올랐다. 돈 있는 사람이 몰리는 곳이다. 초고층이 올라간다고 가정하면 도심에서는 용산이나 서부역 뒤쪽이 제일 나은 것 같다.
이원희: 레버리지를 이용한다면 어느 정도까지 괜찮을까?
서성기: 대출 이자가 월 수입의 20%를 넘지 않는 게 좋다. 내 돈이 아니면 이자 부담 때문에 기회가 올 때까지 기다릴 수 없지 않나. 누구 돈으로 투자할지 결정한 다음 왜 사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
정경애: 동탄, 마곡, 평택 지역에서 받은 토지보상금이 강남 3구에 다 풀렸고 위로 점점 올라와서 여의도까지 갔다고 하더라. 한강 르네상스가 있는 쪽이 가장 많이 오를 거라는 전망이다. 자산 규모가 큰 고객은 인플레이션 때문에 건물을 사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원희: 인플레이션이 정말 올까?
이건홍: 5만원권도 나왔고 우려가 있다. 금리가 최저고 돈이 워낙 많이 풀려 있다. 시기상조라는 의견도 있지만 분명 화제가 될 거다.
이원희: 만약 과잉유동성으로 자산버블이 생기면 정말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다. 부동산도 인플레이션 대비책이 되지만 금이나 원자재 관련 상품은 어떤가?
원연식: 원자재 펀드가 답이다. 앞으로 달러 가치가 약세를 보이면 달러와 대비해 계산되는 실물 펀드는 투자할 만하다. 환율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환 헤지를 하는 것이 좋다.
이원희: 다른 유망한 금융상품으로는 뭐가 있을까?
이건홍: 월급쟁이에게 최고 상품은 적립식 펀드다. 적립식 펀드 중에서 특히 브릭스(BRICs) 펀드를 권한다. 적립식 펀드를 연금처럼 활용하면 은퇴 하기 전에 분명 수익을 얻을 기회가 온다. 지수가 낮을 때 제일 많이 납입하는 게 효과적이다. 근데 사람들은 반대로 투자한다. 장이 올라갈 때 조정하고 하락할 때 납입해야 한다.
대출이자는 월 수입의 20% 이내로
|
이건홍: 자전거 관련 주식이 10배 이상 올랐다. 성남 탄천에서 직접 타봤는데 주변에 자전거 타는 사람이 참 많더라. 실적이 못 받쳐주니까 지금은 거품으로 볼 수 있지만 미래에 경쟁력이 있을 것 같다. 삼천리가 공장을 늘린다고 땅을 산다는데 공장이 증설되면 10만 대 팔리던 자전거가 100만 대 팔리지 않을까.
서성기: 일시적 급등(오버슈팅)인 것 같다. 지금 상황에서 잘나가는 녹색성장 관련주는 다 오버슈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지난해 말에 자전거를 타기 시작했는데 보통 삼천리자전거를 잘 안 산다. 수입 브랜드를 많이 사더라.
이건홍: 상장된 국내 자전거 생산업체는 삼천리가 유일하지 않나. 이명박 대통령과 오세훈 서울시장 모두 공해 얘기를 많이 한다. 거리에 자동차 공해가 없게 한다는데 결국 환경 관련주가 뜰 것이다.발광다이오드(LED)도 전력이 적게 들고 공해가 없는 환경 분야 아니냐?
최종성: 문제는 실제 상용화되는 시점이 언제냐는 것이다.
원연식: 단가만 내리면 생각보다 상용화 시점이 빨리 올 수 있다.
이원희: 그래도 테마주에는 함부로 투자 못하겠더라. 실적이 있는지 거품이 아닌지 확인해야 한다. 요즘엔 묻어가는 엉터리 테마주가 많은데 실제 테마와 관련이 있는지 살펴야 한다.
서성기: 보험은 어떤가?
이건홍: 절세 차원에서 좋다. 개인연금으로 연금보험에 가입하면 월 25만원 불입에, 연 300만원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볼 수 있다. 연 소득이 8000만원 이상이면 1년에 100만원 좀 넘게 소득공제가 된다. 5000만원 이상이면 80만원이 좀 넘는다. 보험을 잘 골라 투자하면 펀드에 투자할 필요 없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147회 로또 1등 ‘7, 11, 24, 26, 27, 37’…보너스 ‘32’
2러 루블, 달러 대비 가치 2년여 만에 최저…은행 제재 여파
3“또 올랐다고?”…주유소 기름값 6주 연속 상승
4 정부,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키로…日대표 야스쿠니 참배이력 문제
5알렉스 웡 美안보부좌관 지명자, 알고 보니 ‘쿠팡 임원’이었다
61조4000억원짜리 에메랄드, ‘저주받은’ 꼬리표 떼고 23년 만에 고향으로
7“초저가 온라인 쇼핑 관리 태만”…中 정부에 쓴소리 뱉은 생수업체 회장
8美공화당 첫 성소수자 장관 탄생?…트럼프 2기 재무 베센트는 누구
9자본시장연구원 신임 원장에 김세완 이화여대 교수 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