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힘 좋은 유압기기 제조업체

힘 좋은 유압기기 제조업체

㈜두산 모트롤을 이끄는 윤태성 BG장.

국내 업체가 유압기기(油壓機器) 생산 100만 대를 돌파했다. 국내 유압기기 업체 중 최초다. 주인공은 ㈜두산의 사업부문인 모트롤 BG(비즈니스그룹)다.

㈜두산 모트롤은 유압기기를 생산한 지 26년 만에 이 기록을 달성했다. 일본 선두 업체에 비해 100만 대 돌파 기록을 10년가량 단축했다. ㈜두산 모트롤은 1985년 일본 가와사키중공업과 제휴해 유압기기 사업을 시작했다. 일본 기업에 한 수 배우던 기업이 이젠 일본 업체를 추격하는 중이다.



엔지니어링 서비스로 중국시장 공략㈜두산 모트롤은 지난해 유압기기 사업에서 전년 대비 127% 성장한 317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영업이익은 311% 증가한 527억원을 기록했다. 유압기기는 쓰임새가 다양하다. 작은 크기에 큰 힘을 내는 유압의 특성 때문에 크레인·지게차·굴착기 등 대부분의 건설중장비에 유압기기가 들어간다.

“중국 건설시장 호황이 생산 100만 대 돌파의 밑거름이 됐다.” ㈜두산 모트롤BG의 윤태성(57) BG장은 좋은 실적의 요인으로 중국시장의 성장을 들었다. ㈜두산 모트롤은 최근 4년 동안 건설중장비용 유압기기 52만 대를 생산했다. 박순일 영업팀장은 “싼이(Sany)·위차이(Yuchai) 등과 같은 중국의 건설중장비 제조업체의 주문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지난해 유압기기 전체 매출 3178억원 중 29%인 921억원이 수출액이었다. 이 중 90%가 중국에서 발생했다. ㈜두산 모트롤 유압기기 제품으로 굴착기를 만드는 두산인프라코어, 현대중공업, 볼보코리아 등이 해외에 수출한 물량까지 합치면 전체 매출의 70%는 수출액으로 볼 수 있다.

시장이 쑥쑥 성장하더라도 경쟁사보다 앞서 준비하거나 적절히 대응하지 않으면 제 몫을 챙기지 못한다. 이 회사가 중국시장을 공략한 무기는 ‘맞춤 서비스’였다. 중국의 건설중장비 제조업체는 대부분 신생기업이라 기술력이 약할 수밖에 없다. 윤태성 BG장은 “중국 기업에 유압기기 제품을 잘 조립하고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알려주는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제공해 경쟁력을 키웠다”고 말했다. 한국투자증권 이훈 연구원은 “중국시장은 당분간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여 ㈜두산 모트롤의 전망은 밝은 편”이라고 분석했다.

㈜두산 모트롤의 전신은 동명모트롤이다. 동명모트롤은 1975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건설중장비용 유압기기 제조회사다. 2008년 두산은 인프라 지원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동명모트롤을 인수했다. 동명모트롤의 기술력은 국내 최고 수준이었지만 중국시장에 대비한 물량을 확보하는 덴 무리가 있었다. 인수 후 ㈜두산은 생산성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 동명모트롤 시절인 2008년 상반기엔 유압기기 4종(주행모터·선회모터·펌프·메인컨트롤밸브) 월평균 생산 대수가 9200대에 그쳤지만 현재는 2만2000대로 늘어났다.

㈜두산 모트롤 윤태성 BG장은 “두산이 인수한 뒤 유압기기 사업에서 공격적 경영을 펴게 됐다”고 지적했다. 두산인프라코어라는 안정적 수요처가 확보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두산 모트롤의 전체 매출액 중 두산인프라코어가 38%, 현대중공업이 14%, 볼보코리아가 8%, 기타 기업이 9%를 차지했다.

㈜두산 모트롤은 우수한 외부 인력을 확충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였다. 현재 ㈜두산 모트롤엔 일본 미쓰비시중공업 등에서 생산설비를 수십 년간 연구해온 전문가들이 일한다. 윤 BG장은 “이분들을 모시기 위해 삼고초려했다”고 말했다. 유압기기는 기술력이 확보되지 않고선 세계시장에서 살아남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기술력은 뛰어난 인재를 얼마나 많이 확보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 윤 BG장의 생각이다.



우수 인력 확보해 생산성 높여직원 한 사람이 여러 장비를 다루는 다장비 시스템을 확충하는 데도 외부 전문가의 조언을 받았다. 자동화 비율을 높이니 제품 품질이 균등해지고 생산성도 높아졌다. 자연스레 제품 납기일도 정확히 맞추게 됐다. ㈜두산 모트롤은 독일에 ‘엔지니어링 하우스’를 짓고 있다. 윤 BG장은 “독일 기업의 경쟁력이 뛰어나지만 창원 공장에서 일할 독일 엔지니어를 찾기 쉽지 않아 독일에 엔지니어링 하우스를 세우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세계 유압기기 시장에서 ㈜두산 모트롤은 독일의 보쉬렉스로스, 일본의 KPM 등과 경쟁한다. 유압기기 분야에서 독일은 130년 이상, 일본은 8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이에 비해 한국의 역사는 40여 년으로 짧은 편이다. 윤 BG장은 “아직까지 해외 무대에선 독일, 일본 기업의 점유율과 인지도가 높은 편”이라며 “하지만 생산성을 높인 덕분에 경쟁 기업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납품하게 됐다”고 말했다.

1980년 대우중공업에 엔지니어로 입사한 윤 BG장은 30여 년간 건설기계산업에 몸담아왔다. 2005년 두산인프라코어가 대우종합기계를 인수한 후 소속이 두산인프라코어로 바뀌었다. 동명모트롤 인수 당시 인수팀장으로 근무하다가 ㈜두산 모트롤 BG장을 맡았다. 윤 BG장은 “유압기기 분야 시장 전망이 밝은 만큼 보람도 크다”고 언급했다. 요새도 현장을 돌아다니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다.

㈜두산 모트롤은 2010년 매출 4037억원, 영업이익 592억원을 달성했다. 금융위기의 타격을 받은 2009년을 제외하곤 2006년부터 매출이 떨어진 적이 한 차례도 없다. 윤 BG장은 “올해는 매출 6000억원 돌파를 예상한다”면서 “기술인력 확충을 통한 생산성 향상에 집중해 매출 1조원을 돌파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두산 모트롤은 유압기기 분야 외에 방위·에너지산업 등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혜민 기자 hasm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2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3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4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5‘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6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7우리금융, 1년 3개월간 금융사고 9건 발생

8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9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실시간 뉴스

1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2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3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4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5‘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