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My Favorite Mistake] 아이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냈어야 했다

[My Favorite Mistake] 아이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냈어야 했다

난 흥청망청 즐기는 스타일이 아니다. 그렇다고 성인(聖人)처럼 행동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어렸을 때 평생 결혼하지 않고 자녀도 갖지 않겠다고 생각했다. 왠지는 모르겠지만 예술가는 작업에 전념하며 고독한 수도자처럼 살아야(live a solitary, monastic life)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생각대로 되진 않았다.

인생이라는 도박은 우리에게 예상밖의 패를 안겨준다(Life deals us a different hand than we think we’re going to get). 그래서 난 결혼을 몇 번 했고 아이도 넷이나 두었다. 내 인생에서 가장 좋았던 시간은 그 아이들과 함께 했을 때였다. 이런 상황에 전혀 준비가 안 돼 있었기 때문에 부족한 점이 많았다(a lot of catching up to do). 큰 아이 둘(줄리엣과 재커리)은 30대 때 첫 아내와의 사이에서 낳았다. 작은 아이 둘(캐머런과 말로위)은 60대 때 얻었다. 위의 두 아이가 자라날 때는 한 창 일에 매진할 때였다[나의 첫 클래식 작품 ‘해변의 아인슈타인(Einstein on the Beach)과 ‘12부분의 음악(Music in Twelve Parts)’을 이때 작곡했다]. 지금 되돌아보면 아이들을 돌보는 데 시간을 좀 더 할애하지 못한 게 아쉽다. 그게 내 인생 최대의 실수였다. 하지만 내겐 또 한번의 기회(a second chance)가 왔다.

첫 아내 조앤 어켈레이티스는 연극계에서 꽤 유명한 연출가였다. 우리는 1960년대에 파리에서 살던 시절에 만났다. 난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아 유학 중이었다. 우리는 지브롤터(스페인 남단의 항구도시)에서는 5파운드만 있으면 결혼식을 올릴 수 있다는 소리를 듣고 그곳에 가서 결혼했다. 그리고 곧 두 아이를 낳았다.

난 곳곳에서 열리는 ‘해변의 아인슈타인’ 공연에 쫓아다니느라 출장을 많이 다녔다(spent a lot of time on the road). 조앤도 극단의 순회공연으로 집을 비우는 때가 많았다. 아내가 아이들을 6주 동안 데리고 있다가 베오그라드 국제연극제에서 온 가족이 다시 만났다. 그리고 그 다음 6주 동안은 내가 아이들을 돌봤다. 부부가 모두 출장이 잦다 보니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됐다. 그래서 난 집을 오랫동안 비워선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택시 기사로 일하던 시절 저녁 때가 되면 집에 들러 아이들을 차에 태우고 동네를 한바퀴 돌았다(gave them a ride around the neighborhood). 아이들이 재미있어 할 줄 알았다. 그런데 나중에 딸 애한테 들어보니 아이들은 그때 내가 택시를 훔쳤는 줄 알고 겁이 났다고 한다. 난 애들을 즐겁게 해주려고(giving them a treat) 한 일인데 말이다.

작은 아이 둘이 자랄 때는 그 애들과 함께 많은 시간을 보냈다. 작업실에서 작곡을 할 때도 아이들이 불쑥 문을 열고 들어왔다. 그러면 난 연필을 내려놓고 애들에게 뭘 하고 싶은지 물었다. 아이들을 학교까지 바래다주고, 아이들과 함께 음악을 작곡하고, 같이 책을 읽고, 공원에 갔다. 이제는 아이들이 얼마나 빨리 자라는지 안다. 게다가 난 평생 음악을 많이 작곡했으니 일을 좀 방해받아도 상관없다. 가까운 사람들과 함께 하는 시간은 아무리 많아도 늘 부족하다는 사실을 이제는 안다.



INTERVIEW BY MARLOW STERN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위기‧위기‧위기’…건설사 CEO 생존 키워드는?

22월 들어 서울 아파트값 0.08% 올라

3‘중국산 AI’ 딥시크 금지령 확산 움직임…충격파는 ‘여전’

4日, 방위비‧대미 투자↑…韓에 미칠 영향은?

5'남녀불문' 234명 성 착취한 '목사'…33살 김녹완 신상 공개

61월 세계 식량 가격 1.6% 내려…두 달 연속 하락세

7‘막차 타자’…세종시 아파트 무순위 청약에 120만명 몰려

8트럼프發 관세 전쟁에 ‘연일 최고가’ 찍는 금값

9국내 여행만 5억건 넘었다…춘절(春節)의 경제학

실시간 뉴스

1‘위기‧위기‧위기’…건설사 CEO 생존 키워드는?

22월 들어 서울 아파트값 0.08% 올라

3‘중국산 AI’ 딥시크 금지령 확산 움직임…충격파는 ‘여전’

4日, 방위비‧대미 투자↑…韓에 미칠 영향은?

5'남녀불문' 234명 성 착취한 '목사'…33살 김녹완 신상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