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에너지 야심 - 북극해 석탄도 노린다

중국의 눈이 북쪽으로 향한다. 북극해 지역의 풍부한 천연자원에 접근하고 편리한 대양 항로를 개척하기 위해 노르웨이로부터 일부 영토를 매입할 생각이다. 홍콩의 약 3배 크기로 미개척지인 스발바르제도(노르웨이령)를 말한다. 노르웨이 정부는 최근 피요르드 지형인 스발바르 제도를 국제 시장에 매물로 내놓았다. 그곳에는 석탄 2000만t이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 최대 정치·경제 컨설팅 업체인 유라시아그룹의 에너지 전문가 에밀리 스트롬키스트는 “급증하는 중국의 에너지 수요와 좀 더 효율적인 북극해 항로에 대한 관심이 결합돼 중국 기업들이 새로운 북극해 에너지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르웨이 극지방 연구학회의 윌리 외스트렝 부대표는 “중국이나 다른 비(非)북극해 국가들이 스발바르 제도를 소유하면 장기적인 북극 탐사를 시작할 교두보만이 아니라 북극 지방에 영구한 근거지를 확보하게 된다”고 말했다.
중국의 그런 시도는 이전에도 있었다. 2011년 부동산 재벌 황누보 중쿤투자그룹 회장은 아이슬란드에서 그보다 더 큰 땅을 매입하려 했다. 그는 2억 달러에 입찰했지만 영토의 외국인 소유가 지나치다는 아이슬란드의 우려 때문에 무산되고 말았다. 또 온라인 시사매체 디플로맷에 따르면 국영 에너지 대기업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는 아이슬란드의 석유개발 기업인 아이콘 에너지와 공동으로 아이슬란드 동남부 해안 지역의 에너지 자원 개발권을 획득했다.
중국은 근년 들어 급속한 산업화와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원을 확보하기 위해 전 세계에 전방위적인 진출을 꾀했다. 예를 들어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SINOPEC)는 캐나다와 북해에 투자했고, CNOOC는 캐나다 에너지회사 넥센을 인수했으며, 중국 국영석유회사 페트로차이나는 미얀마와 중국을 잇는 석유·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을 건설했다.
법률회사 브레이스웰 앤 줄리아니의 에너지 담당 대런 스폴딩은 “지난 수 년 동안 중국 국영기업들이 경매 과정, 특히 에너지 부문 입찰에서 주요 세력으로 부상했다”고 말했다. 한편 중앙아시아에도 중국의 에너지와 천연자원 투자 중 많은 부분이 집중됐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최근 중앙아시아를 순방하면서 여러 건의 에너지 개발 계약을 했다. 예를 들어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 공급을 2020년까지 매년 250억㎥ 늘리는 계약을 성사시켰다. 또 카자흐스탄의 석유 프로젝트에서 300억 달러에 해당하는 8.33%의 지분을 매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대선 이슈 '주4일제'…올해 시행했다면 1년에 '절반' 휴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제시했던 '코스피5000'…한국 증시 상승 조건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