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리뷰
[저자와의 대화 l 김상근 전 KBS PD] “재미 회로 가동해야 삶의 활력 얻어”
- [저자와의 대화 l 김상근 전 KBS PD] “재미 회로 가동해야 삶의 활력 얻어”

“당시엔 방송 용어로 ‘쇼양(쇼+교양)’이라고 했었죠. 저는 ‘쇼양부장’으로 불렸고요. 그때부터 재미와 메시지를 어떻게 결합시킬 것인가에 대해 관심이 많았던 것 같아요. 워낙 인기가 높았던 때라 시청률이 30% 밑으로 내려가면 큰일 나는 줄 알던 시절이었죠. 요즘은 시청률이 잘 나오면 PD가 인센티브를 받기도 하던데 그 때 뭐라도 좀 챙겨 뒀어야 했나 아쉽네요(웃음).”
PD 생활을 끝내고 대학에서 학생을 가르치던 김 전 PD가 최근 [나도 유머러스한 사람이 되고 싶다]를 출간했다. 그의 오랜 관심사인 ‘유머’에 관한 두 번째 책이다. 첫 번째 책에서 유머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시도했다면 이번 책은 ‘실전편’이다.
“사실 유머란 게 웃고 즐기는 것만은 아니거든요. 삶을 살찌우고, 인간관계를 부드럽게 만드는 윤활유 같은 겁니다. 미국에선 유머의 기능과 유형, 역사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잘 이뤄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이를 너무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있죠. 유머에 관한 이론에 여러 사례를 엮는 식으로 꾸며봤어요.”
[나도 유머러스한 사람이 되고 싶다]는 그의 표현대로 유머 에세이다. 일상에서 발굴한 소소한 농과 유머에 관한 과학적 분석을 적절히 버무렸다. 오랜 PD 생활 속에서 건져낸 방송가 뒷얘기도 풍성하다. 이계진 전 아나운서, 가수 조영남, 이시형 박사 등과의 인연, 출연자들과의 긴장관계 등을 재미나게 풀었다. 아나운서들의 생방송 실수담과 역대 대통령의 유머 능력을 분석한 부분도 눈길이 간다.
김창렬 아나운서와 한명숙 아나운서가 더블로 진행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이 있었다. 프로그램이 끝날 땐 여자 아나운서가 “지금까지 진행에 한명숙”이라고 하면 남자 아나운서가 받아 “김창렬이었습니다”라고 하는 걸로 암묵적인 약속이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여자 아나운서가 무심코 “지금까지 진행에 한명숙이었습니다”라고 문장을 맺어버렸다. 당황한 남자 아나운서. 찰나의 긴(?) 순간을 보낸 남자 아나운서는 용단을 내렸다. “김창렬이도 했습니다”
이제는 자신보다 더 유명해진 아들(개그맨 김준현)에 대한 이야기도 나눴다. 개그계에서 김준현은 ‘연기 잘하는 개그맨’으로 꼽힌다. 아무리 재미 없는 내용도 잘 살려내는 능청스러움과 눈길을 사로잡는 무대 장악력이 어디서 나왔나 했더니 확실히 아버지에게 물려 받은 재능인 듯 보였다.
‘내가 더 유명했는데…’ 김준현의 아버지로 사는 요즘

“음악방송 PD(공효진)가 출연 가수(아이유)에게 겉옷을 입으라고 하자, 입는 척 한 뒤 방송을 시작하면 다시 벗는 장면이 나오던데 옛 생각이 나더군요. HOT가 [체험, 삶의 현장]에 나왔을 때였죠. 심의 규정이 워낙 엄격했던 시절이라 귀걸이를 빼라고 했더니 몰래 다시 끼더라고요. 결국 모자이크를 했죠. 방송권력과 문화권력의 보이지 않는 신경전 같은 건데 예나 지금이나 비슷하죠. 이런 얘기들을 재미나게 엮어볼까 생각 중입니다.”
김 전 PD의 첫 학문 주제가 유머였다면 다음은 ‘말하기’다.
“오랜 사회생활을 통해 느낀 점 중 하나는 사람들이 말을 잘 하는 것에 대해 관심이 많다는 겁니다. 그러나 말도 결국 기술이니 연습이 필요하죠. 스피치뿐만 아니라 조직 내 소통을 원활하게 만드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까지 폭넓게 다뤄보고 싶어요.”
이래 저래 살기 힘든 세상이다. 한껏 움츠린 경제는 회복을 잊은 듯 바닥을 기고, 살림살이는 여전히 팍팍하다. 이 와중에 난데 없이 메르스까지 끼어들었다. 김 전 PD는 이럴 때일수록 웃음과 여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유머는 ‘심각하지 않게 생각하는 방법’입니다. 난관을 극복할 대단한 힘이 담겨 있는 건 아니지만 문제 해결의 주체인 사람이 대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움을 주죠. 재미 회로를 가동해야 삶의 활력을 얻고, 그 활력이 있어야 위기도 이겨낼 수 있지 않을까요?”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겁에 질린 여학생 줄행랑…대학생들 ‘정신 나간’ 이 챌린지 뭐길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강원래와 이혼 잘했다” 악플에 김송 분노 “욕도 아까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제시했던 '코스피5000'…한국 증시 상승 조건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