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불안한 중국, 리스크 점검’] 中 기업 외채 부담 해소에 주목

[‘불안한 중국, 리스크 점검’] 中 기업 외채 부담 해소에 주목

9월 첫 주 핫 클릭 리포트로 정하늘 이베스트투자증권 애널리스트의 ‘불안한 중국, 리스크 점검- 우려의 실체를 명확히 하자’를 뽑았다. 이 보고서는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집계 결과 9월 1~8일 조회수 1위(668회, 8월 25일 이후 작성 기준)를 기록했다. 다음은 보고서 요약.
일러스트:중앙포토
상하이 증시 급락 이후 중국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다. 자본이 중국을 빠져나가는 극단적인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우려가 더욱 확대되는 상황이다. 이는 중국 정부의 정책에 대한 신뢰에 손상이 생겼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의 위험 요소로 꼽히는 것은 지방정부 부채, 기업 부채, 부동산 버블 등이다. 그러나 이는 새롭지 않은 내용이다. 중국에 대한 우려가 확산될 때마다 제기돼왔다. 주식 시장 호황에 가려져 있어 잠시 등한시 했을 뿐 몰랐던 사실이 아니다. 위기감을 조성하기보다는 중국 위험 요소를 점검해 우려의 실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중국 무역수지는 경기 둔화와 재고 조정에 따른 수입 감소로 ‘불황형 흑자’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지난 1년간 약 3419억 달러의 외환보유액이 감소해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외환보유액의 감소는 ①핫머니 유출 ②자본수지 적자 ③환차손 ④해외 투자 확대에 기인한다. 여기에 중국 인민은행의 위안화 평가절하로 자본 유출이 빨라져 유동성 위험 발생 가능성이 커졌다.

위안화 평가절하 결정에는 미국과의 정책 공조가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6월 22~24일 제7차 중미 전략경제대화(S&ED) 후 미국 정부는 “중국 측에서 새로운 약속을 합의, 향후 더욱 유연해진 시장 개방을 결정했으며 외환 시장에서도 진척이 있을 것”이라고 논평했다. 당시 의례적인 언급으로 치부했으나, 지금 돌이켜보면 양국간 정책 공조 가능성을 시사한다. 정책 공조가 있었다면 오히려 미국은 순조롭게 금리 인상을 진행할 수 있다. 위안화 평가절하는 달러가 강해지기 전 위안화의 강세 폭을 줄여 금리 인상 부담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향후 위안화의 방향성은 중국 정부의 정책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특히, 기업의 외채 부담의 해결책 강도가 중요하다. 중국은 그동안 기업 부채 부담 축소 방법으로 ‘직접금융’을 선택했다. 기업이 주식 시장에서 기업공개(IPO)와 증자로 자금을 조달해 부채 부담을 축소하는 것이다. 실제로 빠르진 않지만, 안정적으로 금융 시장의 개혁이 추진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증시 폭락에 따른 IPO 중단으로 선순환 구조가 멈췄다. IPO 중단으로 기업들은 회사채 발행으로 초점을 맞추거나 혹은 다시 은행 대출 의존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의 외채 규모는 8955억 달러(GDP 대비 27.3%)다. 세계 7위 수준이자 신흥국 중에서는 최고치다. 중국 성장률 둔화와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의 영향으로 자금 유동성이 경색되자 해외에서의 자금 조달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위안화 평가절하는 이자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단기적으로는 채무 상환 위험보다는 투자 확대가 불투명하다는 것이 불안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이에 중국 정부는 기업 외채 부담 해결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다. 외화 채무를 위안화 채무로 교환해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이자비용 상승을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중국 내수 부진은 ①물가 하락으로 인한 소매 판매 부진 ②반(反)부정부패 기조로 과시형 소비 감소 ③중국 내외 가격 격차로 설명할 수 있다. 특히 중국의 소비재는 높은 소비세와 부가가치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돼 있다. 이로 인해 해외에서의 씀씀이에 비해 내수가 부진하다. 이에 중국 정부는 해외 소비를 내수로 돌리기 위해 소비세 폐지 등을 논의하고 있다.

- 정리 = 함승민 기자 ham.seungmin@joins.com
 [박스기사] 화제의 리포트 ㅣ 23년 만의 신규 은행 허가, 그 가치는? - 하반기 증시 달굴 최고의 이슈
현재 한국 증시는 중국의 경기 부진 우려와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 등으로 올 들어 최악의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경제의 분위기를 살릴 만한 모멘텀은 어떤 것이 있을까. 김태현·김학준 토러스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23년 만의 신규 은행 허가, 그 가치는?’이란 보고서를 통해 인터넷 전문은행 사업자 선정이 하반기 최고의 증시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위원회는 현재 인터넷 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받고 있다. 12월이면 사업자 예비인가를 할 예정이다. 이번 인가는 23년 만에 처음으로 신규 은행을 허가하는 것이다. 보고서는 “금융업이 정부의 통제를 받고 있음을 감안하면 이 라이선스의 가치와 매력은 매우 크다”며 “인터넷 전문은행 라이선스의 가치는 최소 9000억원에서 최대 7조8000억원이 될 것”이라고 봤다.

인터넷 전문은행 라이선스를 획득할 경우 50%의 지분을 갖는 한국 금융지주, 카카오·인터파크홀딩스(은산법 개정 후)의 시가총액 증가액은 최소 4500억원에서 최대 3조9000억원이 될 것으로 추산했다. 10%의 지분을 보유할 것으로 예상되는 다날·KG이니시스·GS홈쇼핑·NHN엔터테인먼트·KB은행·IBK기업은행·NH투자증권·SK텔레콤·우리은행·교보생명 등의 시가총액 증가액은 최소 900억원에서 최대 7800억원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인터넷 전문은행 선정 가능성이 커 보이는 곳은 카카오 컨소시엄, 인터파크 컨소시엄, KT 컨소시엄 세 곳이다. 2개 사업자 선정에 현재 3개 컨소시엄만 참여 의사를 밝혔다. 보고서는 “선정 기업을 맞출 확률이 66.7%, 세 군데 분산투자를 해도 수익기대 확률이 50%가 넘는다”고 지적했다.

사업자 선정의 평가배점과 평가기준에 대한 가이드 라인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결과가 나올 때까지 누가 선정될지 예측하기 어렵다. 정부가 사업자 선정의 목표와 의도를 어디에 두고 있는지에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정부가 핀테크산업 육성 측면에서 글로벌 핀테크 기업에 맞설 토종 핀테크 기업을 만들려 한다면 카카오 컨소시엄을, 은행 고유 업무에 대한 차별화 경쟁력을 갖추고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길 원하면 인터파크 컨소시엄을, 핀테크산업으로부터 국내 금융산업을 보호하고 정부가 인터넷 전문은행을 관리하는데 목적이 있다면 공기업인 KT컨소시엄을 선정할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에클스턴 전 F1 회장 내놓은 69대 경주차 매물 ‘8866억 원’ 추산

2세계 전기차 업계 한파 매섭다…잇단 공장 폐쇄·직원 감축

3'삼성동 집 경매' 정준하..."24% 지연손해금 상식적으로 말 안 돼"

4‘연구원 3명 사망’ 현대차 울산공장·남양연구소 11시간 압수수색

57조 대어 LG CNS, 상장 예심 통과…“내년 초 상장 목표”

6윤 대통령 “백종원 같은 민간 상권기획자 1000명 육성할 것”

7삼성전자, 반도체 위기론 커지더니…핫 하다는 ETF 시장서도 외면

8롯데 뒤흔든 ‘위기설 지라시’…작성·유포자 잡힐까

9박서진, 병역 면제 논란…우울·수면 장애에 가정사까지?

실시간 뉴스

1에클스턴 전 F1 회장 내놓은 69대 경주차 매물 ‘8866억 원’ 추산

2세계 전기차 업계 한파 매섭다…잇단 공장 폐쇄·직원 감축

3'삼성동 집 경매' 정준하..."24% 지연손해금 상식적으로 말 안 돼"

4‘연구원 3명 사망’ 현대차 울산공장·남양연구소 11시간 압수수색

57조 대어 LG CNS, 상장 예심 통과…“내년 초 상장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