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폐기된 지폐 5t 트럭 114대분
지난해 폐기된 지폐 5t 트럭 114대분
불에 타고 습기에 젖어 못 쓰게 된 돈이 지난해 약 4조4000억원어치에 달했다. 한국은행이 1월 15일 발표한 ‘2019년 중 손상화폐 폐기 및 교환 규모’를 보면 지난해 한은이 폐기한 손상 화폐는 6억4000만장이다. 5만원권이 발행되기 시작한 2009년 이후 최대 규모다. 버려진 돈을 액수로 따지면 4조3540억원이다.
지폐는 6억1000만장, 총 4조3516억원어치가 쓸 수 없어서 버려졌다. 이 가운데 1만원권이 3억3000만장으로 폐기된 지폐의 53.5%였고, 1000원권은 2억3000만장(37.8%), 5000원권이 4000만장(6.7%), 5만원권은 1000만장(2.0%)이 버려졌다. 폐기된 지폐는 5t 트럭 114대 분량에 해당한다. 동전은 2590만개, 액수로 24억원어치가 폐기됐다. 이 가운데 10원짜리가 1110만개(42.9%)로 가장 많았다. 100원짜리는 990만개(38.2%), 50원짜리는 260만개(10.1%), 500원짜리가 230만개(8.8%)로 뒤를 이었다.
한은의 화폐교환 창구에서 바꿔 간 손상 화폐는 74억원으로, 1년 전보다 17억6000만원 늘었다. 돈이 손상된 이유를 봤더니 화재가 11억5000만원어치로 가장 많았고 장판 아래 뒀다가 눌어붙거나 습기에 부패하는 등 잘못 보관한 경우가 10억7000만원어치였다. 실수로 세탁기·세단기에 잘못 넣은 경우는 3억9000만원어치였다. 한국은행은 화재 등으로 지폐가 손상됐을 때, 원래 면적의 4분의 3 이상이 남아있어야 전액 새 돈으로 바꿔준다. 5분의 2가 채 안 되면 바꿔주지 않는다. 동전은 모양을 알아볼 수 있는 경우에는 전액 교환해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폐는 6억1000만장, 총 4조3516억원어치가 쓸 수 없어서 버려졌다. 이 가운데 1만원권이 3억3000만장으로 폐기된 지폐의 53.5%였고, 1000원권은 2억3000만장(37.8%), 5000원권이 4000만장(6.7%), 5만원권은 1000만장(2.0%)이 버려졌다. 폐기된 지폐는 5t 트럭 114대 분량에 해당한다. 동전은 2590만개, 액수로 24억원어치가 폐기됐다. 이 가운데 10원짜리가 1110만개(42.9%)로 가장 많았다. 100원짜리는 990만개(38.2%), 50원짜리는 260만개(10.1%), 500원짜리가 230만개(8.8%)로 뒤를 이었다.
한은의 화폐교환 창구에서 바꿔 간 손상 화폐는 74억원으로, 1년 전보다 17억6000만원 늘었다. 돈이 손상된 이유를 봤더니 화재가 11억5000만원어치로 가장 많았고 장판 아래 뒀다가 눌어붙거나 습기에 부패하는 등 잘못 보관한 경우가 10억7000만원어치였다. 실수로 세탁기·세단기에 잘못 넣은 경우는 3억9000만원어치였다. 한국은행은 화재 등으로 지폐가 손상됐을 때, 원래 면적의 4분의 3 이상이 남아있어야 전액 새 돈으로 바꿔준다. 5분의 2가 채 안 되면 바꿔주지 않는다. 동전은 모양을 알아볼 수 있는 경우에는 전액 교환해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라이엇 게임즈, 7번째 국외소재 문화유산 ‘경복궁 선원전 편액’ 환수 성공
2로레알, 사노피 지분 4조5000억원 처분
3“중국산 AI 꼼짝 마”…챗GPT, 딥시크 3배 정확도 ‘딥 리서치’ 출시
4오름테라퓨틱, 공모가 2만원 확정...14일 코스닥 상장
5尹, 20일 첫 형사재판...‘출석 여부’는 미지수
6외국인 떠난 삼성전자, ‘5만 전자’ 위태…목표가 ‘줄하향’ 무슨 일
7"2심도 전부 무죄"... '사법 리스크' 벗은 이재용, 2심 쟁점 무엇이었나
8한국 매출 늘었는데...코스트코, 연회비 최대 15% 올린다
9“금값 오르고, 비트코인은 뚝”...‘관세 전쟁’ 개막에 금융시장 출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