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경력단절여성 비율 가장 높아
대구, 경력단절여성 비율 가장 높아

경력단절여성 수는 지난해 169만9000명에 비해 11.4% 규모인 19만3000명이 감소했다. 경력단절여성 감소는 기혼여성 숫자 자체가 줄어든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15~54세 기혼여성 수는 지난해(884만4000명)보다 26만6000명 줄었다.
연령대로 살펴보면 30대가 경력단절여성의 절반에 가까운 46.1%(69만5000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 40대가 38.5%(58만명), 50∼54세가 8.9%(13만4000명), 15∼29세가 6.4%(9만7000명)를 차지했다.
경력단절여성이 일을 그만둔 사유를 보면 육아(42.5%, 64만명)가 1위였다. 다음으로는 결혼(27.5%, 41만4000명), 임신·출산(21.3%, 32만1000명), 가족돌봄(4.6%, 6만9000명), 자녀교육(4.1%, 6만2000명)순이었다.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 비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대구(22.2%)였고 가장 낮은 시도는 제주(12.7%)였다. 경력단절여성 중 재취업을 한 사람은 214만1000명으로 지난해보다 3.3%(7만3000명) 감소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尹이 쏘아 올린 '통신3사' 담합 과징금...억울한 통신 3사, 왜?
2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3'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4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5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6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7"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8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9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