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ck Report
확장현실(XR) 글로벌기업 목록에 한국이 없다 [체크리포트]
- 기술영향력·시장지배력 점수 모두 평균 이하

이제 성과도 나온다. ‘5년 뒤 메타버스기업’을 선언한 페이스북은 새로 선보인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지난 1분기에만 460만대 팔았다. 시장조사업체 IDC는 세계 XR시장이 2019년 79억 달러(약 9조880억원)에서 2024년 1368억 달러(약 157조3884억원)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런데 이런 트렌드에서 국내기업들은 비켜나 있다. 패러다임을 바꿀 기술은커녕 시장에서 팔릴 만한 기술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책연구기관인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이하 연구소)는 7월 28일 낸 보고서 ‘글로벌 XR 기업의 특허 분석’에서 기업별 XR 특허 수준을 비교·분석했다. 연구소는 ‘기술 영향력’과 ‘시장지배력’ 두 가지 지표를 썼다. 지표 점수가 평균보다 높으면 ‘선진기업’, 낮으면 ‘의존기업’으로 분류했다.
양만 보면 다른 나라 기업에 크게 밀리지 않는다. 지난 10년간 기업들은 시각에서 가장 많은 특허(1만9579건)를 냈는데, 국내기업이 낸 건 2042건이었다. 기업별 점유율에서도 삼성전자가 2.24%로 3위에 올랐다.
처참한 건 특허의 질이다. 기술 영향력에서 마이크로소프트(15.07점)를 필두로 미국의 스타트업 링컨글로벌(14.42점)과 매직리프(12.82점)가 뒤를 이었다. 전체 기업의 평균 점수는 4.05점인데, 이를 넘은 국내기업은 없었다. 시장지배력 지표에서도 평균인 16.83점을 넘은 국내기업이 없었다. 매직리프(201.4점), 링컨글로벌(176.93점)에 이어 소니(19.75점)와 퀄컴(10.99점)이 순위에 올랐다.
문상덕 기자 mun.sangdeo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불꽃야구’ 흔들리는 파이터즈 배터리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역시 센터는 로제…'인종차별' 논란' 현장 공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보훈부 시스템 26개 전면 마비”…국정자원 화재로 멈췄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위클리IB]두나무가 네이버를 집어삼킬 가능성...지분교환의 결말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아이엠비디엑스, 액체생검 활용 확대…5조원 시장 선점 자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