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면접 알고리즘 밝혀라”…채용에 영향주는 AI 면접 신뢰성 흔들려
‘정보공개 거부’ 기관들, 하반기 채용에도 AI 활용
불투명한 알고리즘 탓…‘출신 대학 반영’한다는 주장도 나와
민변 디지털정보위원회, 진보네트워크센터 등의 시민사회단체가 공공기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AI 면접의 신뢰성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결과가 주목받고 있다. 일부 공공기관의 경우 AI 면접 점수가 채용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시민단체에서 한국국제협력단과 한전KDN을 상대로 정보공개를 요구하는 소장을 냈다. 이들 기관이 진행했던 인공지능(AI) 면접의 목적과 절차, 결과 등 자료를 요구했다. AI 알고리즘이 면접관보다 공정했는지 물은 것이다. 항간엔 알고리즘 요소 중 하나로 출신 대학도 있단 말이 나온다. 사실이라면 AI 면접을 활용한 블라인드 채용이 무색해진다.
그러나 이들 기관은 정보공개 요구에 “정보를 공개할 수 없거나 존재하지 않는다”라고만 답하고 있다.
문제가 불거졌지만 공공기관에선 여전히 AI 면접을 계속 쓰고 있다. 시민사회단체에서 한전KDN을 포함한 13개 기관에 정보공개 청구를 했는데, 그중 9곳이 현재까지 AI 면접을 쓰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전KDN 관계자는 “논란이 된 부분을 반영해 면접 점수나 탈락 기준을 조정해가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국제협력단은 하반기 채용에서 AI 면접을 빼기로 했다. 지난 3월 감사원에서 이 기관 AI 면접 규정에 문제가 있다며 주의 처분을 내려서다.
애당초 AI 면접이 나온 이유를 떠올리면 이런 공정성 논란은 아이러니하다. 사람보다 기계가 더 공정하게 심사할 거란 기대에서 나온 게 AI 면접이기 때문이다.
AI 면접 1위 업체인 마이다스아이티가 ‘AI 역량검사’를 처음 선보인 때는 강원랜드 채용 비리가 한창 밝혀질 때인 2018년이다. 그해 정부가 조사한 공공기관 1190곳 중 949곳(80%)에서 채용 비리가 이뤄졌다. 이런 기대 덕분에 마이다스아이티는 고객사를 빠르게 늘렸다. 8월 기준 이 업체 솔루션을 쓰는 고객사는 공공과 민간을 합쳐 600곳이 넘는다.
도입 초기에도 “AI 면접을 믿을 수 있느냐”란 목소리는 있었다. 면접 영상에서 AI가 실시간으로 표정 변화를 짚어내고, 지원자 말을 문자로 바꿔 키워드 분석을 하기엔 당시 기술이 충분치 않았기 때문이다. 이 업체가 “우리 솔루션은 면접이 아닌 역량검사”라고 해명했던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 나왔지만…
AI 면접의 신뢰성을 지적하는 본지의 질문에 마이다스아이티는 “역량검사의 공정성·객관성을 강화하고자 학계 자문단에게 감수를 의뢰했다”며 “오는 9월 감수를 끝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도 손 놓고 있진 않았다. 지난 1월 채용 지원자가 AI 면접 알고리즘에 문제 제기할 수 있도록 한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정부는 입법 이유로 “인공지능 등을 이용한 자동화된 결정이 정보주체의 권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때 정보주체가 이를 거부하거나 설명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을 꼽았다. 개정안은 지난 8월 3일 국무회의 심의를 거쳤다. 국회 상임위 상정 바로 전 단계다.
정부 개정안에도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AI 면접을 채용절차의 일부로만 쓰면 아무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문상덕 기자 mun.sangdeo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필립스옥션, 11월 홍콩 경매 한국작가 이목하 작품 약 3억 원 낙찰
2"내집마련, 앞으로 더 힘들다"...입주물량 주는데 분양가는 고공행진
3갭투자 보단 '똘똘한 한 채' 뜬다…서울 원정투자는 '주춤'
4스타벤처스·제주대 손잡고 제주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 나선다
5미성년자 팬 맞았는데…제시 "인생은 롤러코스터"
6SPC그룹 정기 임원 인사...삼립 황종현·김범수 공동대표
7변경구 hy 대표 “서울시와 복지 사각지대 해소”
8CJ제일제당, 해외 누들 시장 공략으로 글로벌 식품사업 확장
9“그냥 쉬어요” 청년 42만명…‘니트족’ 될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