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수소탱크 상용화 설비 구축하며 수소 사업 속도
17년부터 수소저장용기 개발…수소차 시대 대비한다

이번에 조성되는 파일럿 설비는 약 1488㎡ 규모다. 롯데케미칼은 이번 설비투자를 통해 수소 탱크 제조 기술을 시험 활용함으로써 본격적인 수소전기차 시대에 대비하고 시장 진입 기반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이번 공정설비는 롯데그룹 화학BU 소속인 롯데알미늄의 인천공장 내 부지를 활용한다. 2022년 상반기 안에 관련 설비를 완공할 예정으로, 롯데케미칼의 수소탱크 연구개발 역량과 롯데알미늄의 부품 조립 및 소재 가공 역량을 더해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2017년부터 수소저장용기 개발을 시작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으로 추진했던 ‘고속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을 이용한 수소전기자동차용(FCEV) 700bar 수소저장용기 제조 기술 개발’ 과제에 5개 참여기관 중 하나로 참여하며 수소저장용기 사업에 시동을 걸었다.
수소전기자동차(FCEV)에 사용되는 수소저장용기는 약 700bar의 초고압에서 안전성과 신뢰성이 필수적인 핵심부품이다. 롯데케미칼이 국내 최초로 확보한 Dry winding(드라이 와인딩) 기술은 일체형 폴리머 용기에 탄소섬유를 감아서 적층하는 설계 능력과 고속성형 가능한 공정 개발을 통해 수소탱크의 대량생산과 경량화가 특징이다.
롯데케미칼은 회사가 개발한 수소탱크가 수소전기차에 필요한 기본 요구 성능 평가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유럽 등 해외 국제인증 취득도 준비 중이다. 다양한 용량의 수소탱크를 개발해 상용차, 드론 및 운송 수단 등에 적용 시킬 계획이다.
김교현 롯데 화학BU장은 “화학 BU내 계열사간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수소 사업의 부가가치 창출은 물론 그룹내 계열사들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수소사업 로드맵을 실현시켜 나갈 것”이라고 했다.
한편 롯데케미칼은 지난 7월 13일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친환경 수소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으며, 2025년에는 10만개의 수소탱크를 양산하고 2030년에는 50만개로 확대 생산하는 계획을 밝혔다.
김영은 기자 kim.yeonge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2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3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4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5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6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7'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8"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
9박상우 국토부 장관 “국민의 삶 흔들리지 않도록…안전 관리 최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