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고 일어나면 폭등하는 대출금리 '6% 목전'…국민 청원까지
예대금리 차이 2%p 넘어…4년 만에 최대 폭
기준금리 인상시 격차 확대…금융소비자 '불만'
시중은행 대출금리가 ‘6%’대를 바라보고 있는 가운데 예금금리는 ‘1%’대 제자리 걸음을 하면서 예대금리 차이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대출이자 상환에 허덕이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불만의 목소리도 갈수록 높아지는 분위기다.
8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17개 은행의 신용대출 평균금리는 지난 8월에 연 3.07~5.92%에서 9월 연 3.21~6.68%로 상승했다. 한 달 사이 상단이 0.76%포인트 급등한 것이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같은 기간 연 2.6~3.29%에서 연 2.74~3.59%로, 상단이 0.3%포인트 올랐다.
최근엔 하루사이에 대출금리가 0.2%포인트 오르는 등 금리 상승 속도가 이례적으로 빠른 상황이 나타나기도 했다. 지난 1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3.31∼4.814% 수준이다. 두 달여 전인 8월 말(2.62∼4.19%) 대비 하단과 상단이 각 0.69%포인트, 0.624%포인트 높아졌다.
변동금리가 아닌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는 더 큰 폭으로 올랐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혼합형 금리는 연 2.92∼4.42%에서 3.97∼5.377%로 상승했다. 최저 금리와 최고 금리도 불과 두 달 만에 약 1%포인트씩 증가했다.
일부 은행에선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가 3.68∼4.68% 수준으로, 지난 10월 31일 금리 3.47∼4.47% 대비 불과 하루 만에 상단과 하단이 모두 0.21%포인트씩 오른 수치로 확인됐다. 주택담보대출 고정 금리도 하루 사이 3.88∼5.08%에서 4.00∼5.20%로 상·하단이 0.12%포인트씩 상승했다.
금융권에선 한국은행이 지난 8월 기준금리를 인상한 게 시중 대출금리를 끌어올리는 데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규제 압박을 강화하면서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올리거나 우대금리를 줄인 것도 금리 급등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처럼 대출금리가 무서운 속도로 치솟는 데 비해 예금금리는 정체 양상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정기예금(1년·신규취급액 기준) 평균금리는 지난 8월 연 1.16%에서 9월 연 1.31%로 0.15%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5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상품 14개(1년 만기) 가운데 기본금리가 1%를 넘는 상품도 단 두 개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금융당국의 고강도 대출 규제가 지속되면서 은행권이 대출 재원인 예금을 적극적으로 유치해야 할 필요성이 낮아졌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또 최근 부진한 주식시장으로 인해 시장의 풍부한 유동성이 은행으로 몰리고 있어, 은행들이 예금금리를 올리면서까지 예금 유치에 공을 쏟지 않을 것이란 시각이다.
실제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 10월 말 기준 총수신 잔액은 1751조362억원으로, 9월 말 1725조7750억원 대비 25조원 이상 늘었다.
이처럼 대출금리와 예금금리 상승 속도에 차이가 나다 보니 은행권 예대금리 격차는 지난 7월부터 10월까지 3개월 연속 확대되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해당 수치는 ▲7월 2.11%포인트 ▲8월 2.12%포인트 ▲9월 2.14%포인트 매월 확대됐다. 예대금리차가 2%포인트를 기록한 건 지난 2017년 이후 처음이다.
상황이 이렇자 차주들의 불만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최근엔 ‘은행의 가산금리 폭리를 막아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등장하기도 했다. 지난 4일 올라온 해당 청원 글에는 하루 만에 6000명의 동의가 몰렸다.
연내 한은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연말엔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최대 6%까지 갈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앞서 지난 3일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예대금리차 확대와 관련해 “앞으로 금리인상 가능성을 생각하면 그런 기대가 계속될 수 있다”며 “시장금리가 상승하면서 대출금리에도 반영되다보니 전체적으로 예대마진이 높아지는 일들이 있는데, 서민이나 취약계층의 금리부담에 대해 더 많이 신경쓰면서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강민경 기자 kang.minkyung@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컴투스 '스타시드: 아스니아 트리거', 글로벌 160여개국 서비스 시작
2엔씨소프트, ‘독립 개발 스튜디오’ 체제 출범…4개 자회사 설립 확정
3DL이앤씨, ‘아크로 리츠카운티‘ 분양 예정
4프리드라이프, AI 자서전 무료 제작 이벤트 진행
5이복현 “기준금리 인하에도 경기 하방 위험…대내외 리스크 관리 총력”
6이장백 오렌지스퀘어 대표 “와우패스, 韓 게이트웨이 슈퍼앱 도약”
7한은, 기준금리 0.25%p ‘깜짝 인하’…“경기 하방리스크 완화”
8IBK기업은행, 폴란드법인 설립 인가 취득
9편의점 깜깜이 대금공제 방지…10개 표준거래계약서 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