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대출 아니라 희망고문” 소상공인, 은행 앱 불만 폭주
24일부터 희망대출 신청 시작됐지만
소상공인들 “서비스 엉망” 불만 폭주
“은행직원도 잘 모른다”며 답답함 토로

중신용 이상 소기업·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한 ‘희망대출플러스’ 신청이 지난 24일부터 시작됐지만, 은행 어플리케이션(앱)의 지연 및 오류가 잇따르며 불만이 폭주하는 모양새다. 일부 대출 신청자는 설 전에 대출이 시급하다며 발을 구르고 있다.
2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소상공인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 회복 지원을 위해 총 10조원 규모 초저금리 대출 희망대출플러스를 공급하기로 하고 24일부터 신청을 받고 있다.
국민은행·기업은행·농협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하나은행 등 6개 시중 은행과 부산은행·대구은행 등 2개 지방 은행 모바일 앱으로 희망플러스 특례보증을 신청하면 된다.
대상은 지난달 27일 이후 100만원의 소상공인 방역지원금을 지급받은 소기업·소상공인 86만곳이다. 신용도에 따라 1~1.5% 초저금리로 최대 1000만원(대표자 기준)까지 지원된다. 정부는 신청 대상을 ▶중신용자(나이스평가정보 개인신용 평점 745~919점·옛 신용등급 2~5등급) ▶고신용자(나이스 기준 920점 이상·옛 신용등급 1등급)로 나눴다.
신청자가 몰릴 것을 대비해 24일부터 다음 달 11일까지 신청 첫 3주간은 대표자 주민등록번호상 출생연도 끝자리를 기준으로 5부제가 운영된다. 출생연도 끝자리가 1·6이면 월요일, 2·7이면 화요일, 3·8은 수요일, 4·9는 목요일, 5·0은 금요일에 신청하면 된다.

한 희망대출 신청자는 “서버가 다운돼서 약정서를 못 받았다”며 “설이 지나면 줄줄이 (대출) 연체가 될 것 같은데 걱정이다. 이번 주에 막아야 할 돈이 400만원이 넘는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신청자는 “고신용으로 신청하면 서류심사 중에서 넘어가지 않고, 중신용으로 하면 '실패했다'는 메시지가 뜬다”며 나이스 기준으로는 중신용, KCB(코리아크레딧뷰로) 기준으는 고신용이라 둘 다 신청했는데 왜 오류인지 모르겠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 외에도 “은행에 전화를 해도 받지 않는다” “접수를 했는데도 대출 진행현황 조회에 ‘신청목록이 없습니다’로 뜬다” 등 서비스 문의및 오류와 관련해서도 불만들이 속출했다.
희망대출 상환과 관련해 은행들의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한 자영업자는 “고신용 대출 기한이 1년뿐이고 만기 일시상환”이라며 “어떤 은행은 기한연장이 아예 안 된다고 하고, 또 다른 은행은 1년이 되는 시점에 은행 내규에 따라 심사해봐야 하는데 지금은 확답이 어렵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경주시, 올해 105억 규모 청년정책 운영
2"2027년에는 포항산 연어 나온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순항
3수원 광교호수공원에 500명 모여…‘함께고워크’ 캠페인은 무엇?
4"망한거 아닙니다"...홈플러스, 고객·매출 더 늘었다
5또 터진 금융사고...‘취임 100일’ 강태영 농협은행장, 무거운 어깨
6금감원, 美 상호관세 대응 ‘총력’…매주 원장 주재 회의
7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컴업 2025' 주관기관으로 코스포·벤기협·VC협회 선정
8"만화왕국 日에서 1위 매출이 네이버웹툰?"...라인망가, 앱 매출 날았다
9HDC현대산업개발, 시공혁신단 구조자문 활동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