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폐기된 돈, 2조400억…에베레스트 15배 높이 [체크리포트]
지난해 손상화폐 규모 2조423억원, 1000원권·100원화 가장 많아
지난해 화재, 수해 등으로 폐기된 손상화폐 규모가 2조423억원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폐기된 권종은 1000원권(1억5960만장)이었으며 주화는 100원화가 65%를 차지하며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비대면 거래로 시중 화폐 수요가 줄면서 은행권 환수량이 감소해 손상화폐 폐기규모는 전년보다 40% 가까이 줄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중 손상화폐 폐기 규모’에 따르면 지난해 한은이 폐기한 손상화폐는 4억352만장(2조423억원)으로 집계됐다.
폐기 규모는 1년 전보다 37.2% 줄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금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카드, 비대면 결제가 늘면서 현금 사용량이 더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권종별로는 1000원권이 1억5960만장 폐기됐다. 전체의 46.4%다. 만원권은 1억5530만장(45.1%), 5000원권은 2530만장(7.3%), 5만원권 은 390만장(1.1%)으로 뒤를 이었다.
주화는 5933만장(57억3000만원) 폐기됐다. 1년 전보다 74.1%(2525만장) 증가한 것이다. 최근 환수량 급증에 대응한 100원화 중심의 집중 정사 실시 등의 영향이 컸다고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화종별로는 100원화가 전체의 65.1%에 달했다. 이어 10원화(21.4%), 50원화(8.5%), 500원화(5%) 순이었다.
한편 지난해 폐기된 물량의 총 높이는 에베레스트산의 약 15배, 롯데월드타워의 약 241배에 육박한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라이엇 게임즈, 7번째 국외소재 문화유산 ‘경복궁 선원전 편액’ 환수 성공
2로레알, 사노피 지분 4조5000억원 처분
3“중국산 AI 꼼짝 마”…챗GPT, 딥시크 3배 정확도 ‘딥 리서치’ 출시
4오름테라퓨틱, 공모가 2만원 확정...14일 코스닥 상장
5尹, 20일 첫 형사재판...‘출석 여부’는 미지수
6외국인 떠난 삼성전자, ‘5만 전자’ 위태…목표가 ‘줄하향’ 무슨 일
7"2심도 전부 무죄"... '사법 리스크' 벗은 이재용, 2심 쟁점 무엇이었나
8한국 매출 늘었는데...코스트코, 연회비 최대 15% 올린다
9“금값 오르고, 비트코인은 뚝”...‘관세 전쟁’ 개막에 금융시장 출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