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급락에 모처럼 웃은 뉴욕증시…나스닥 3.59%↑
산유국 증산 기대감에 유가 하락…기술주 상승 랠리

우크라이나 사태가 진행 중이지만 국제유가와 에너지 가격이 하락하면서 투자 심리가 되살아났다. 9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2% 이상 하락한 배럴당 108.7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26일 이후 최고 낙폭이다. 브렌트유 역시 13% 급락한 배럴당 111.1달러를 기록했다.
고공행진하던 국제유가의 상승 폭이 꺾인 건 증산 기대감 때문이다. 아랍에미리트(UAE)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산유량 확대를 고려할 것을 촉구했다. 이라크 역시 OPEC 회원국과 기타 산유국의 협의체인 OPEC+의 요청이 있다면 원유 생산량을 늘릴 것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영토문제를 두고 러시아와 협상할 의사가 있다는 뜻을 드러낸 점도 호재였다. 증권거래 업체 오안다의 선임 애널리스트 에드워드 모야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2주가 지나면서 투자자들도 조금씩 긍정적인 자세를 갖게 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종목별로는 기술주의 상승세가 눈에 띄었다. 넷플릭스(4.98%)와 마이크로소프트(4.59%), 테슬라(4.19%), 애플(3.50%), 알파벳(4.97%), 메타(4.31%) 등이 모두 전일 대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전일 대비 6.97% 급등하기도 했다.
김다린 기자 kim.dar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큰 거 온다' 일본, 30년 남았나…"대지진 땐 30만명 사망"
2산불로 ‘여의도 5배’ 과수원 피해…정부, 영농재개 긴급지원
32월 '트리플 증가'에도 웃지 못한 韓 경제, 왜?
4 원/달러 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종가 1472.9원
5내달 ‘슈퍼관세데이’ 코 앞으로…비트코인 8만선 무너지나
6한앤컴퍼니, ‘특수가스 글로벌 1위’ SK스페셜티 지분 85% 인수
7K-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관심 줄어…글로벌 자본 미국 시장으로 집중
8“대출 경험 有” 청년 절반은 23살부터 빚진다…잔액은 얼마?
9공매도 재개 첫날, 트럼프 관세 공포 겹치며 무너진 증시 향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