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큰 거 온다' 일본, 30년 남았나…"대지진 땐 30만명 사망"

日 내각부 전문가 검토회, 피해 추정치 발표
"난카이 해곡서 발생시 34m 쓰나미 덮칠 것"

[사진 픽사베이]
[이코노미스트 김기론 기자] 앞으로 30년 이내에 발생할 확률이 80% 정도로 예상되는 일본 난카이 해곡 대지진 때 29만8천명이 사망하고 피난민은 1천230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치가 새로 제시됐다.

31일 일본 교도통신과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일본 내각부 전문가 검토회는 이런 내용의 피해 추정치를 발표했다.

규슈 미야자키현 앞 해역인 휴가나다에서 규모 9.0 강진을 유발하는 난카이 해곡 대지진을 가정해 쓰나미 높이와 침수 면적 등을 새로 계산해 추정한 피해 규모로 확인됐다.

난카이 해곡은 수도권 서쪽인 시즈오카현 앞바다에서 시코쿠 남부, 규슈 동부 해역까지 이어진 바닷속 깊은 골짜기로, 이 지역에서는 100∼150년 간격으로 대형 지진이 일어난 바 있다.

이에 내각부 전문가 검토회는 오키나와현에서 후쿠시마현에 걸쳐 넓은 면적에 높이 3m 이상의 쓰나미가 도달하고 고치현 일부 지역에는 최고 약 34m의 쓰나미가 덮칠 것으로 전망했다. 덧붙여 높이 30㎝ 이상 침수되는 지역만 약 1천151㎢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또 29만8천명의 사망자 중 21만5천명은 쓰나미에 의해 희생될 것으로 예상했다. 지역별 사망 추정자 수는 시즈오카현이 10만1천명으로 가장 많고 미야자키현 3만3천명, 미에현 2만9천명으로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피난민은 1천23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0%에 해당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 피해 규모는 건물 235만채가 완파되는 것을 비롯해 직접 피해만 최대 225조엔(약 2천223조원)에 달하고 경제활동 저하와 인프라 기능 중단 등까지 따지면 292조3천억엔(약 2천889조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지난해 약 609조엔인 일본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거의 절반에 달하는 수준이라고 마이니치신문은 언급했다.

앞서 일본 정부는 2014년 난카이 해곡 대지진 방재 대책 기본 계획을 짤 때 33만2천명이 숨지고 250만4천채의 건물이 완파하는 추정치를 제시하면서 사망자를 80%가량 줄이는 것을 목표로 10년간 방조제 정비 등을 추진하기로 한 바 있다.

아사히신문은 "이번 추정치는 당시와는 다른 방식에 의한 것"이라며 "당시 조건으로 계산하면 사망자는 26만4천명으로 20%가량 줄어드는 셈"이라고 전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이번에 새로 나온 추정치를 기초로 방재 기본 계획을 수정할 방침이다.

한편, 지난 1월 일본 정부 지진 조사위원회는 향후 30년 이내에 규모 8∼9의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할 확률을 '80% 정도'로 제시한 바 있다.

올해 1월 13일 일본 규슈 동쪽 미야자키현 앞 해역인 휴가나다에서 규모 6.9의 지진이 관측됐을 때의 지도.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칭따오, 대용량 ‘칭따오 라거 710ml 빅캔’ 출시

2오뚜기, LIGHT&JOY 활용 키자니아 쿠킹스쿨 진행

3대상다이브스, ‘서울커피엑스포 2025’ 참가…생두 유통 전문성 알린다

4대웅제약, 펙수클루 위염으로 급여 적용 확대

5 韓 대행 "헌재서 어떤 결정내려도 차분·냉정하게 받아들여야"

6우리은행, IB그룹 파크원 이전…그룹 IB분야 모두 여의도 집결

7PFCT, 인니 대안신용평가사 인수…“글로벌 사업 확장 속도”

8증권사 CEO 줄줄이 연임 성공…‘안정’ 택했다

9"제 입장 말씀드렸다"...이복현 금감원장 사의표명

실시간 뉴스

1칭따오, 대용량 ‘칭따오 라거 710ml 빅캔’ 출시

2오뚜기, LIGHT&JOY 활용 키자니아 쿠킹스쿨 진행

3대상다이브스, ‘서울커피엑스포 2025’ 참가…생두 유통 전문성 알린다

4대웅제약, 펙수클루 위염으로 급여 적용 확대

5 韓 대행 "헌재서 어떤 결정내려도 차분·냉정하게 받아들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