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도” 은행 점포가 사라진다…지난해 311개 없어져
지난해 말 국내은행의 점포 총 6094개
점포 감소 규모 매년 커져
인터넷·모바일뱅킹 이용 늘어난 영향

금융감독원이 30일 발표한 ‘2021년 국내은행 점포 운영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은행의 점포는 총 6094개로 전년 말보다 311개 감소했다. 은행별로 신한은행 감소 숫자가 75개로 가장 많았고, 국민은행 58개, 우리은행 53개, 하나은행 38개, 부산은행 20개, 경남은행 14개 등으로 그 뒤를 이었다.
국내은행 점포 감수 규모는 ▶2018년 23개 ▶2019년 57개 ▶2020년 304개 등으로 매년 감소 규모가 커지는 추세다.
은행 종류별로 보면 지난해 시중은행의 점포 감소 규모는 230개로 전체의 74%를 차지했다. 지방은행과 특수은행은 각각 57개와 24개였다. 서울, 경기, 인천 등 대도시권 소재 점포가 244개 줄며 전체의 78.5%에 달했다.
금감원은 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거래 확대와 점포 효율화 추진 등으로 감소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은행이 지난 2일 발표한 ‘2021년 중 국내은행 인터넷뱅킹서비스 이용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은행의 인터넷뱅킹(모바일뱅킹 포함) 등록 고객 수는 1억9086만명으로 전년 말 대비 9.4% 증가했다. 모바일뱅킹 등록고객 수는 1억5337만명으로 13.5% 늘었다.
인터넷뱅킹(모바일뱅킹 포함)을 통해 자금이체 및 대출신청서비스를 이용한 금액은 70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기간(56조원)보다 19.6% 증가했다.
금감원은 “은행의 점포 운영 자율성을 존중하되 노령층 등 금융이용자의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 中 연 매출만 64조원”...이재용, ‘가전→전장’ 공략으로 새 中드라이브
2만원대 청바지로 홀렸다...이랜드 패션 야심작 'NC베이직' 초반 순항
3챗GPT의 '지브리 그림체' 유행이 씁쓸한 이유
4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5'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6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7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8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9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