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우리나라 노인, OECD 중 제일 가난하다”…빈곤 위험도 최고 [그래픽뉴스]

통계청 '한국의 지속가능발전 목표' 보고서 공개
65세 이상 노인 빈곤 위험도, OECD 국가 중 1위
저소득 가구 10가구 중 1가구, 식품 안정성 떨어져

 
 
우리나라 66세 이상 노인의 상대적 빈곤 위험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보고서 2022’에 따르면 우리나라 66세 이상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 소득 인구의 비율)은 40.4%로 집계됐다. 18~65세 빈곤율(10.6%)의 4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18~65세 빈곤율 대비 66세 이상 빈곤율로 측정한 고령층의 상대적 빈곤 위험도는 367.8%(2018년 기준)로, OECD 국가 가운데 1위였다.
 
상대적 빈곤 위험도 상위 국가인 스위스(250.0%), 호주(246.9%), 일본(153.8%) 등과 비교해도 월등히 높았다.
 
노인 저소득 문제도 심각했다. 2020년 기준 66세 이상 인구의 균등화 중위소득(처분가능소득 기준)은 1809만원으로, 18∼65세 인구(3240만원)의 55.8%에 그쳤다.
 
또 우리나라의 저소득 가구 10가구 중 1가구 이상은 식품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0년 기준으로 소득 수준이 ‘하’로 분류된 저소득 가구 가운데 13.4%는 관련 조사에서 ‘최근 1년간 충분하고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섭취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최저 주거 기준 미달 가구의 비율은 2020년 4.6%로 전년(5.3%)보다 소폭 감소했으나, 수도권(5.6%)이나 청년 가구(7.5%)의 경우 미달 가구 비율이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이외에도 우리나라의 곡물 자급률은 2020년 기준 20.2%(잠정)로 집계됐다.
 
 

라예진 기자 rayej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큰 거 온다' 일본, 30년 남았나…"대지진 땐 30만명 사망"

2산불로 ‘여의도 5배’ 과수원 피해…정부, 영농재개 긴급지원

32월 '트리플 증가'에도 웃지 못한 韓 경제, 왜?

4 원/달러 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종가 1472.9원

5내달 ‘슈퍼관세데이’ 코 앞으로…비트코인 8만선 무너지나

6한앤컴퍼니, ‘특수가스 글로벌 1위’ SK스페셜티 지분 85% 인수

7K-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관심 줄어…글로벌 자본 미국 시장으로 집중

8“대출 경험 有” 청년 절반은 23살부터 빚진다…잔액은 얼마?

9공매도 재개 첫날, 트럼프 관세 공포 겹치며 무너진 증시 향방은

실시간 뉴스

1'큰 거 온다' 일본, 30년 남았나…"대지진 땐 30만명 사망"

2산불로 ‘여의도 5배’ 과수원 피해…정부, 영농재개 긴급지원

32월 '트리플 증가'에도 웃지 못한 韓 경제, 왜?

4 원/달러 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종가 1472.9원

5내달 ‘슈퍼관세데이’ 코 앞으로…비트코인 8만선 무너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