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1개월 만에 풀린 ‘사회적 거리두기’…들썩이는 유통가
[해방된 유통가①] 18일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제
운영시간 및 인원 제한 풀리면서 기대감 커져
영화관, 호텔업계도 고객 모시기 이벤트 준비
배달 업체 등 코로나19 때 호황 맞은 곳은 우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측은 “3월 25일 확진자 33만9443명에서 4월 15일 12만5832명으로 수가 주는 등 최근 3주간 확진자 감소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국민들의거리두기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또 오미크론은 높은 전파력을 지녀, 사회적 거리두기가 비교적 유행 억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분석해 이번 조치 해제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2년 1개월 만에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하면서, 국내 유통업계는 들떠있다. 특히 식당, 카페 등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의 기대감은 크다. 18일부터 영업시간 제한, 사적 모임 인원 제한, 종교활동 수용인원 제한 등 모든 조치가 해제되면서 코로나19 이전 모습으로 영업할 수 있게 된다.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등 국내 대형마트는 오는 25일부터 풀리는 마트 내 시식, 시음 행사를 대대적으로 준비하는 모양새다. 코로나19 이후 시식코너가 금지되면서 주춤했던 식품코너에 다시금 활기를 불러일으킬 계획이다. 국내 백화점업계는 오는 5월 초에 열리는 화장품 행사를 준비 중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나들이 등 야외활동을 계획하는 사람이 많아질 것을 예상해, 화장품 마케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관광 및 호텔업계도 방문객 모시기 이벤트가 한창이다. 먼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대한민국 숙박대전 2022’를 열면서, 숙박시설 할인 쿠폰 100만장을 오는 5월 8일까지 선착순으로 제공한다.
호텔업계는 5월 가정의 달을 겨냥한 가족 단위가 즐길 수 있는 패밀리 패키지를 선보인다. JW메리어트 호텔 서울은 객실 안에 장난감 세트를 제공하는 ‘패밀리풀레이타임 엣 JW’ 패키지를 준비했고 롯데호텔 서울은 헬로카봇 인기 캐릭터로 꾸며진 객실에서 숙박하는 ‘헬로카봇 프렌즈’ 패키지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는 어린 자녀들이 피규어키링 만들기를 체험할 수 있는 ‘패밀리 투게더 패키지’ 등을 운영한다.

기대 뒤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어

또 대형마트인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가 풀리면서 집밥 대신 외식을 찾는 사람이 늘면서 오히려 식품 매출이 줄을 수 있음을 경계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급격하게 매출이 급증한 밀키트, 가정간편식(HMR) 식품군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코로나19로 호황을 맞이하던 배달 중심 가게들도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외식이 많아지면서 배달음식 선호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김영갑 한양사이버대 교수(외식프랜차이저 MBA)는 “코로나19 이후, 배달 의존도가 90%를 넘는 딜리버리 전문 사업자가 급격하게 늘었다”며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고 이후 코로나가 종식되면 이전처럼 홀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져 배달 수요가 줄 텐데, 이때는 코로나19 이후 생긴 배달 전문점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KG그룹, 산불 피해복구와 소방관 지원 위해 성금 5억원 기부
2부동산에 쏠린 빚만 ‘연간 100조원’ 이상...11년 만에 2.3배로
3거래소, 6월부터 파생상품 야간거래 1시간 연장
4LIG넥스원, 美 방산 기업 안두릴과 미래전 무기체계 개발협력
5백종원 더본코리아 “노랑통닭 인수 안 한다…논의 중단돼”
6원/달러 환율, 다시 1470원선 위협…어디까지 오를까
7지그재그, 브랜드 편집숍 ‘셀렉티드’ 정식 론칭...거래액 최대 2782%↑
8카카오뱅크-전북은행 ‘공동대출’…금융위 혁신금융 신규 지정
9트럼프 관세, 셈법 들여다보니…"美 무역적자 0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