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삼성전자, 512GB CXL D램 개발…"차세대 메모리 시장 주도"
- 데이터 지연 시간 기존 제품 대비 5분의 1로 줄어
메모리 용량 4배 증가…서버 1대당 수십TB로 확장

이번 제품은 PCIe 5.0을 지원한다. 대용량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에 적용되는 기업·데이터센터용 폼팩터(EDSFF)가 적용돼 서버 1대당 메모리 용량을 수십TB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메모리 용량은 기존 제품 대비 4배 증가했다. 또한 주문형 반도체(ASIC) 기반의 컨트롤러가 탑재돼 데이터 지연 시간이 기존 제품 대비 5분의 1로 줄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5월부터 CXL 기반 D램 기술을 개발하고 데이터센터, 서버, 칩셋 업체들과 평가를 해왔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TB급 이상의 차세대 메모리 인터페이스 제품을 지속 개발하며 대용량 메모리가 요구되는 컴퓨팅 시장에 맞춰 적기에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했다.
삼성전자는 이달 내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인 스케일러블 메모리 개발 키트(SMDK)의 업데이트 버전을 오픈소스로 공개할 계획이다. 개발자가 다양한 응용 환경에서 CXL D램 기술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개발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박철민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신사업기획팀 상무는 "CXL D램은 AI, 빅데이터 등의 서비스 수준을 높이고, 소프트웨어 정의 메모리를 포함한 차세대 메모리로 확장될 것"이라며 "삼성전자는 CXL 메모리 생태계가 성장할 수 있도록 기술을 표준화하고 CXL 메모리 솔루션을 확대해 차세대 메모리 시장을 주도하겠다"고 했다.
선모은 기자 seon.moe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소프라노 조수미, 국기원 홍보대사 위촉…“태권도는 韓 자부심·알리는 데 힘 보탠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23억 사기당해 15평 거주…김상혁에 역술가 “총체적 난국” (’살림남’)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4배 폭등 끝 ‘급전직하’ 상지건설…장 마감후 대규모 CB 전환 공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