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4월 경상수지 8000만달러 적자…원자재 가격 뛰며 수입 급증

경상수지 흑자기조 2년 만에 깨져
수출 호조에도 상품수지 흑자 감소 영향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도 축소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 야적장에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이 가득 쌓여 있다. [사진 연합뉴스]
4월 경상수지가 8000만 달러(약 1005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2020년 5월 이후 올해 3월까지 이어온 흑자 기조가 2년 만에 깨졌다. 국제유가를 포함한 원자재 가격이 치솟은 결과 상품수지 흑자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4월 경상수지는 8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 흑자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0억 달러 적은 29억5000만 달러에 그쳤다. 수출이 반도체·석유제품 등의 호조로 589억3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1.2% 늘었지만, 수입이 559억8000만 달러로 16.5% 늘어나며 증가폭이 더 컸기 때문이다.
 
특히 원자재 수입액이 인플레이션 영향에 급증했다. 4월 통관 기준으로 원자재 수입액은 전년 같은 달보다 37.8% 증가했다. 원자재 중 석탄, 가스, 원유, 석유제품의 수입액 증가율이 각각 148.2%, 107.3%, 78.4%, 36.0%를 기록했다.  
 
서비스수지는 5억7000만 달러 흑자로,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억3000만 달러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특히 운송수지 흑자 규모가 1년 사이 6억5000만 달러에서 17억6000만 달러로 늘었다. 이는 4월 선박 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1년 전보다 49.9% 증가하는 등 수출화물 운임이 급등한 영향이다.  
 
임금·배당·이자 흐름을 반영한 본원소득수지는 32억5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 규모는 전년 동월 대비 6억7000만 달러 감소했다. 배당소득수지가 38억2000만 달러 적자를 낸 영향이 컸다.  
 
직접투자에서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4월 57억 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8000만 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72억 달러 증가를 기록하며 2020년 4월 이후 25개월 연속 증가했다. 반면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16억9000만 달러 감소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그랜드벤처스, 탄소회계 솔루션 '카본사우루스'에 프리 A 라운드 투자

2볼보코리아, 어린이 안전 등하굣길 지원…교통안전 용품 5000개 기증

3케이엠텍, 전고체ㆍ건식전극 제조설비 전문업체로 우뚝

4 작년 마약사범 연간 2만명 첫 돌파…10대도 급증

5이창용 총재, ‘BIS 연차총회’ 참석 위해 스위스行

6한국캐피탈, 한국전쟁 참전용사 후손 16명에 장학금 전달

7넥슨, 신규 PC 게임 ‘프로젝트 로키’ 정식 명칭 ‘슈퍼바이브’로 확정

8SK온, 엑손모빌과 리튬 공급 MOU…美 리튬 최대 10만톤 확보

9해외건설전문가포럼, ‘해외투자개발사업 법률적 타당성조사 공동 세미나’ 성료

실시간 뉴스

1그랜드벤처스, 탄소회계 솔루션 '카본사우루스'에 프리 A 라운드 투자

2볼보코리아, 어린이 안전 등하굣길 지원…교통안전 용품 5000개 기증

3케이엠텍, 전고체ㆍ건식전극 제조설비 전문업체로 우뚝

4 작년 마약사범 연간 2만명 첫 돌파…10대도 급증

5이창용 총재, ‘BIS 연차총회’ 참석 위해 스위스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