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차이나 트렌드] 소비자의 수요 다변화, 中 커피 시장 판도 바꿔

[차이나 트렌드] 소비자의 수요 다변화, 中 커피 시장 판도 바꿔

(중국 난징=신화통신) 최근 커피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수요가 다양해지면서 중국 커피 산업의 구조가 변화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바리스타 황치(黃琪)는 수년간 베이징의 카페에서 일한 후 장쑤(江蘇)성 난징(南京)시에 '라이징커피(Risingcoffee)'라는 카페를 창업했다. 황치는 원두를 직접 로스팅하고 매월 싱글오리진 원두의 품종을 바꿔 커피를 판매하고 있다.
황치는 "커피에 대한 대중의 기준이 높아지면서 블랜딩 원두로는 대중을 완전히 만족시킬 수 없게 됐다"며 "매월 다른 싱글오리진 원두를 교체해 고객이 산지와 추출 방식에 따라 원두의 풍미를 다양하게 느끼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생원두 수입량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은 커피 품질과 풍미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기준이 높아졌다는 것을 반영한다.
중국 해관(세관) 통계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약 6만~7만t의 원두가 수입된 반면 지난해에는 전년 동기 대비 약 74% 늘어난 12만2천700t이 수입됐다. 그중 생원두 수입량은 지난해보다 약 87% 증가한 10만6천t으로 전체 수입량의 약 86%를 차지했다.
아버지 때부터 생원두 무역에 종사해온 예안닝(葉安寧)은 전통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커피는 표준화돼 대중 수요에 적합하고 독립 카페는 특정 가치에 집중해 다양한 원두와 커피 품질을 추구하는 젊은 소비자의 수요를 만족시킨다고 설명했다.
이어 "요즘은 상업용 카페, 독립카페, 이탈리아 전통식 커피, 팬시커피, 드립백 커피, 액상커피 등의 다양한 카페와 커피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2021 상하이 프리미엄 커피 소비 관찰'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상하이의 프리미엄 카페는 총 3천244개로 중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는 현지 카페 수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수준이다.
그 밖에도 베이징·청두(成都)·난징·항저우(杭州) 등의 1·2선 도시에도 독립카페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난징의 인기 상권인 '신제커우(新街口)'에서 '카페'를 검색하면 야오더우(幺逗), Funky Trio, 샤오캉(小康)합작사 등의 다양한 독립카페를 찾을 수 있다.
중국 커피 시장의 발전 배경에는 주요 소비층에서 만들어진 거대한 수요가 자리 잡고 있다. 딜로이트 차이나가 발표한 '중국 원두커피 업계 백서'에 따르면 중국 1·2선 도시의 커피 침투율이 67%에 달하며 커피 소비자는 20~40대의 1선 도시 화이트칼라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난해 국립대병원 10곳, 적자 규모 5600억원 달해

2제주서 잡힌 ‘전설의 심해어’ 돗돔... 크기가 무려 183cm

3못 말리는 한국인의 홍삼 사랑...홍삼원 '1000억 메가 브랜드' 됐다

4상위 1% 부자 되는 법은…“30대엔 몸, 40대엔 머리, 50대엔 ‘이것’ 써라”

5쿠팡이츠, 상생 요금제 도입…매출 하위 20% 수수료 7.8%p 인하

6"갤럭시 S25, 기다려라"...AI 기능 담은 '아이폰 SE4' 출시 임박, 가격은?

7‘농약 우롱차’ 현대백화점 “환불 등 필요한 모든 조치”

8작년 배당금 ‘킹’은 삼성 이재용…3465억원 받아

9유럽, 기후변화로 바람 멈추나…풍력 발전 위협

실시간 뉴스

1지난해 국립대병원 10곳, 적자 규모 5600억원 달해

2제주서 잡힌 ‘전설의 심해어’ 돗돔... 크기가 무려 183cm

3못 말리는 한국인의 홍삼 사랑...홍삼원 '1000억 메가 브랜드' 됐다

4상위 1% 부자 되는 법은…“30대엔 몸, 40대엔 머리, 50대엔 ‘이것’ 써라”

5쿠팡이츠, 상생 요금제 도입…매출 하위 20% 수수료 7.8%p 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