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업 말살 vs 미래 먹거리”…‘대체육’ 대체 어쩌란 말인가
[밥상 위 ‘탄소중립’ 대체육 논쟁③] 찬반 대표 2인 인터뷰
“대체육은 고기 아닌 비즈니스, 미래 축산물 대안 아냐”
“미래 단백질 부족 현상의 해결책, 축산업과 상생해야”
고기인 듯 고기 아닌 고기 같은 ‘대체육’. 밥상 위 대체육 논쟁의 열기가 여전히 뜨겁다. 지난해 12월 초 식물성 대체육이 한 마트의 축산 코너에 등장하자 축산업계는 강한 반발에 나섰고, 대체육을 식량난 해소와 탄소중립의 주역으로 보고 있는 학계와 산업계는 답답함을 호소했다.
대체육은 고기인가 아닌가. 대체육은 탄소중립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가. 축산업계와 학계를 각각 대표하는 정승헌 한우정책연구소장과 류기형 공주대 교수(식품공학과)를 만나 그들의 입장을 지상토론 형식으로 꾸며봤다.
‘대체육’이란 명칭이 적합한가.
정승헌 소장(이하 정):
대체육에 ‘고기’라는 단어를 넣는 것은 학술적으로나, 과학적으로나, 법률적으로나 적합하지 않은 용어다. 현행법상에서 정의하는 ‘고기’는 가축을 ‘가축을 키워서 도축해 얻어진 근육’을 말하기 때문에 대체육을 고기라 부르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 미국에서는 대체육 대신 ‘이미테이션 푸드’, 모방·유사식품이라 부르고 있다.
류기형 교수(이하 류):
대체육은 고기와 같이 유사한 질감과 고기를 조리했을 때 나오는 색과 맛을 가진 대체식품을 뜻한다. 대체육은 최종 식품을 만들기 위한 중간 소재다. 이러한 정의로 언급될 경우 ‘고기’란 단어가 들어가야 한다고 본다. 최종 식품에서는 ‘식물성 패티’나 ‘식물성 불고기’처럼 원료를 명확하게 언급해야 하고, 대체육 대신 ‘대두조직화 단백질’이란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정부와 산업체, 학계가 협의체를 구성해 기준을 세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체육을 고기로 볼 수 있는가.
정:
류:
대체육은 단백질을 고기와 유사하게 만든 대체식품이다. 대체육은 최종 식품을 만들기 위한 소재라고 이해해야 하고, 고기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고는 볼 수 없다. 다만 대체육은 미래의 단백질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축산업계와 대체육 산업계가 경쟁이나 대립관계로 가선 안 되며 함께 가야 하는 윈윈관계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 축산업계와 학계, 산업계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부분은 각각 무엇인가.
정:
류:
현재 학계나 대체육 산업계에서 가장 문제라고 보고 있는 부분은 대체육의 자급률이 매우 낮다는 점이다. 대체육의 원료가 되는 콩이나 식용 곤충, 버섯 균사체 등을 수입에 의존해 들여오고 있다. 국내 대체육 시장을 전 세계까지 확장하기 위해선 우리나라 땅에서 나고 자란 원료를 이용해 만든 대체육을 한식에 활용한 독자적인 K-푸드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대체육 원료의 국산화가 이뤄져야 하고, 대체육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공정 시스템이 더 탄탄해져야 한다.
대체육 시장의 성장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지
정:
류:
대체육은 미래의 단백질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라고 본다. 2050년이 되면 세계 인구가 96억명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 이렇게 되면 고기 단백질 수요가 현재보다 2배 이상 많아질 것이다. 축산물로는 이를 감당할 수 없고,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와 환경오염 이슈를 인식하고 동물복지 측면에서 봤을 때도 대체육은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축산업계와 경쟁관계가 되는 것이 아니라 상생하며 미래 먹거리를 발굴해나가야 한다.
대체육이 탄소중립의 효과를 갖고 있다고 보는지.
정:
류:
대체육에 대한 연구는 아직 기초 단계지만 이는 탄소발생과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대표적인 미래 먹거리임이 분명하다. 소고기 1㎏을 생산하는데 온실가스와 매탄이 60㎏ 생성된다는 연구가 나왔다. 물론 대체육을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탄소가 배출되지만 원료가 되는 콩이나 식물의 탄소 발생이 없어 탄소 배출 저감에 도움이 된다고 본다.
정부와 축산업계, 기업과 소비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정:
류:
대체육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선 결국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탄소중립과 동물복지 문제 등에 소비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사회적 이슈들을 인식해 대체육 소비를 실천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배경이 만들어지기 위해선 무엇보다도 정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대체육 산업이 일어날 수 있도록 생태계를 조성하고 학계와 축산업계, 산업계의 의견을 모두 반영해 갈등을 조정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의 역할을 해내야 한다. 또 한국의 대체육 식품이 전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야 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900조 대왕고래' 기대감…한국도 석유 생산국 될까
22025 기업 임원 인사 흐름 살펴보니…대규모 변화 및 조직 슬림화가 특징
3우리은행 찾은 김난도 교수, 내년 소비트렌드 10대 키워드 공개
4이역만리 우즈벡서 내 휴대폰이 왜…술이 문젠가 사람이 문젠가
51기 신도시 볕 드리우나…'선도지구' 매수 문의 '활활'
6해외촬영 중 비보…'티아라' 함은정 모친 별세
7청강문화산업대학교, '日 웹툰시장 진출전략 세미나' 진행
8‘오너 4세’ 허서홍, GS리테일 이끈다…“신성장동력 창출 기대”
9곽튜브, 부산까지 가서 "감칠 맛이…" 동공 커진 까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