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빅스텝’에 전 세계 덮친 부동산 위기설
미국·캐나다·호주, 금리 오르자 주택경기 주춤
‘부동산發 위기설’ 퍼진 중국, 대출상환 거부 운동까지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면서 주요 선진국의 부동산 경기 역시 침체기에 돌입하고 있다. 그동안 ‘부동산 위기설’이 퍼지던 중국에선 개발업체의 유동성 위기로 인한 공사중단에 항의하는 시위가 연일 발생하고 있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7월 연준이 기준금리를 1%p 인상하는 일명 ‘울트라 스텝’을 밟으리라는 전망이 제기되는 가운데 미국과 캐나다, 호주의 주택거래가 급감하고 있다.
미국에선 금융위기 이후 수년째 주택공급 부족이 적체되고 자재비, 인건비 등 물가가 급등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새 집값이 워낙 급등한 데다 올해 3월부터 금리 인상이 겹치며 매수세가 다소 꺾이는 모양새다.
지난 5월 전미 부동산중개인협회가 집계하는 주택구매력지수는 102.5로 금융위기 전인 2006년 7월 100.5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기축 주택 매매 건수 역시 541만 건으로 전월 대비 3.4% 줄며 4개월 연속 감소했다.
다른 영미권 국가들 사정도 비슷하다. 캐나다 부동산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캐나다 주택거래 건수는 4만8716건을 기록하며 전월보다 5.6% 줄었다. 이 또한 3개월 연속 감소한 수치다. 미국에선 당장 집값 하락이 나타나지 않은 데 비해 캐나다에선 주택가격 역시 확연히 내려가고 있다. 6월 캐나다 주택의 평균거래 가격은 지난 2월보다 15.4% 하락했다.
호주에선 시드니와 맬버른을 비롯한 대도시 부동산이 급락하고 있다. 최근 골드만삭스는 보고서를 통해 뉴질랜드 집값이 지난해 최고점보다 8% 하락했다는 조사결과를 내놨다.
이 같은 부동산 경기 침체는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에 발맞춰 각국 역시 자국 기준금리를 대폭 끌어올린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캐나다 중앙은행인 캐나다은행(BOC)은 지난 13일 자국 기준금리를 24년 만에 최대치인 1%p 인상한 바 있다.
캐나다, 호주 같은 국가들도 미국처럼 그동안 주택공급 부족에 시달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주택수급보다 금리 인상 여파가 최근 시장에 더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수요자 입장에서 주택구매 비용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높아졌기 때문이다.
미국 경제지 블룸버그는 “전 세계 중앙은행이 금리를 단기간에 올리면서 대출 비용이 급등해 자산 구매자들이 한계에 부딪히게 됐다”면서 “이 같은 효과는 캐나다, 미국, 뉴질랜드 같은 나라에서 한때 뜨겁게 달궈졌던 주거용 부동산 시장이 급속히 냉각되는 식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지난해부터 일찍이 부동산 위기가 표면화됐던 중국에선 대규모 프로젝트의 공사 중단으로 인한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의 규제정책으로 인해 불거진 ‘헝다’ 사태가 다른 부동산 개발회사들의 유동성 위기로 번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 5월 모기지 기준금리인 5년 물 대출우대금리(LPR)을 0.15%p 인하하는 등 글로벌 기조를 역행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공사중단 사태는 여전하다.
지난달부터 헝다 아파트 수분양자들이 정부에 대책 마련을 요구하며 주택담보대출 상환 거부 운동에 들어갔으며 현재 이 같은 움직임은 중국 전역의 아파트 공사현장으로 번지고 있다. 지난 14일엔 시안시에 위치한 안시성 은행감독국 건물 앞에서 1000명의 시위대가 대책 마련을 촉구하기도 했다.
민보름 기자 brmi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바이오로직스, 내년 3월 ADC 사업 추진…수주 전략은
2"기준금리 인하할까"...내일 한은 금통위 앞두고 전문가 83%는 '이것' 예상
3“초코파이는 빼고”…오리온, 13개 제품 가격 10.6% 인상
4고현정, 전 남편 언급? "아들·딸과 연락은…"
5'분양가 50억' 서울원 아이파크 '펜트하우스', 1순위 청약서 10명 신청
6'1900조 대왕고래' 기대감…한국도 석유 생산국 될까
72025 기업 임원 인사 흐름 살펴보니…대규모 변화 및 조직 슬림화가 특징
8우리은행 찾은 김난도 교수, 내년 소비트렌드 10대 키워드 공개
9이역만리 우즈벡서 내 휴대폰이 왜…술이 문젠가 사람이 문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