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년물 국채금리 치솟아 증시 부담
한국은행 10월 금리 인상 압박 전망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선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7.10포인트(0.35%) 추락한 3만76.68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1.94포인트(0.84%) 후퇴한 3757.99 ▶나스닥지수는 153.39포인트(1.37%) 하락한 1만1066.81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0.64포인트(2.29%) 떨어진 27.35를 각각 나타냈다.
연준은 2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9월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결정했다. 0.75%포인트 인상은 6월과 7월에 이어 3회 연속이다. 그 파장으로 10년물 국채금리가 3.7%까지 치솟은 점도 증시에 부담을 안겼다.
한국은행도 이에 대한 대응으로 지난 8월 국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해 미국과 금리 수위가 같도록 맞췄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역전 현상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하지만 미국이 이번에도 금리를 또 올려 한국은행은 오는 10월과 11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또 한번 올릴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은 각국의 통화 정책에도 파동을 일으켰다. 연준이 3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하자 다른 국가들도 금리를 일제히 인상했다. 자본 유출 우려에 대응하고 해외 거래 환산에서 손실을 줄이는 한편 자국 내 인플레이션 확산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들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노르웨이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대만 중앙은행은 0.125%포인트를 각각 올렸다. 스위스 중앙은행도 0.75%포인트 인상을 발표하면서 향후 추가 인상 가능성도 내비쳤다.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도 0.50%포인트, 인도네시아 0.50%포인트, 필리핀도 0.50%포인트 각각 인상했다. 홍콩도 3회 연속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미 연준의 9월 금리 인상 전에도 스웨덴과 캐나다도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스웨덴 국립은행(중앙은행)은 20일(현지시간) 1%포인트 올려 기준금리를 1.75%까지 끌어올렸다. 1993년 이후 역대 최대 인상폭이다. 앞서 7월에도 캐나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1%포인트 인상했다.
이 같은 각국의 긴축 행진은 앞으로 주가 하락을 자극하는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세계 물가 안정에 기여해왔던 세계공급망이 최근 코로나19 대유행, 러시아 전쟁, 무역 갈등 등의 여파로 불안정이 커지고 있다는 점도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박정식 기자 tang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14배 폭등 끝 ‘급전직하’ 상지건설…장 마감후 대규모 CB 전환 공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中, 美 입항료 부과 결정에 "필요한 조처할 것" 보복 시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