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신금리 0.05%p ↑…상승폭 둔화
고정금리 대출 비중 전월대비 7%p ↑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2022년 8월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잠정)’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지난 8월 중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 수신금리는 연 2.98%로 전월 2.93%에 비해 0.05%포인트 상승했다. 수신금리 상승폭은 전월 0.52%포인트에 비해 둔화됐다.
박창현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 팀장은 “8월25일 기준금리가 인상된 효과가 예·적금금리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데다 단기물 비중도 확대됨에 따라 수신금리는 전월 대비 0.05%포인트 상승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저축성수신금리란 고객이 받는 금리를 뜻한다. 정기 예·적금을 뜻하는 순수저축성예금, CD(양도성예금증서)·금융채·RP(환매조건부채권)·표지어음 등의 시장형금융상품 등을 포함한다.
이 가운데 정기예금·정기적금 등 순수저축성예금 금리는 지난달 2.91%로 전월 2.82% 대비 0.09%포인트 상승했다. CD·RP 등 시장형금융상품 금리는 7월 3.28%에서 8월 3.23%로 0.05%포인트 하락했다.
전체 대출평균금리는 전월의 4.21%에서 0.31%포인트 상승한 4.52%로 집계됐다.
기업 대출금리는 4.46%로 전월 4.12%에 비해 0.34%포인트 올랐다. 기업 규모별로 살펴보면, 대기업 대출 금리는 4.23%로 전월보다 0.39%포인트,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4.65%로 전월보다 0.29%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은 4.76%로 전월보다 0.23%포인트 올랐다. 2013년 1월 4.84%이후 9년7개월만에 최고치다. 코픽스·금융채(5년물) 등 지표금리가 상승하며 주택담보대출과 보증대출 등이 모두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전월보다 0.19%포인트 오른 4.36%를 나타냈다. 일반신용대출 금리 또한 전월의 5.92%에서 0.33%포인트 오른 6.24%를 나타냈다.
특히 가계대출 중 고정금리 대출 비중은 24.5%로 전월대비 7.0%포인트 상승했다.
이에 대해 박 팀장은 “8월 중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향후 금리 상승 기대로 인해 고정형 대출에 대한 수요가 커졌다”면서 “씨티은행 관련 대환대출 취급이 전월보다 축소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8월 예대금리차는 1.54%포인트로, 전월 대비 0.26%포인트 확대됐다. 박 팀장은 “예대금리차는 올해 2월 이후 6개월만에 확대 전환했다”면서 “예대금리차가 확대된 것은 수신금리 상승폭이 전월 대비 크게 축소된 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겁에 질린 여학생 줄행랑…대학생들 ‘정신 나간’ 이 챌린지 뭐길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강원래와 이혼 잘했다” 악플에 김송 분노 “욕도 아까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제시했던 '코스피5000'…한국 증시 상승 조건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