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익성 지표 ‘영업이익률’ 개선
비금융 기업 ‘부채비율’은 악화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연간 기업경영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은 전체 조사대상 업체 중 40.5%다. 기업경영분석은 국내 비금융 영리법인기업 85만8566곳을 전수조사한 결과로 전체 기업의 현황을 가장 잘 드러낸다.
이자보상비율이란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을 부담할 수 있는 정도를 뜻한다. 이자보상비율이 낮다는 것은 기업들의 빚 갚을 능력이 떨어졌다는 것이며, 이 비율이 100%에 못 미칠 경우 기업이 한 해 동안 번 돈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인 기업 비중의 역대 최고치는 2020년 40.9%다. 이 같은 ‘한계기업’ 비중은 지난 2016년 이후 5년 연속 증가하다가 2021년 소폭 줄었다. 다만 해당 수치는 지난해 역대 두번째를 기록해, 여전히 기업의 금융 비용 부담 능력이 낮은 수준인 것으로 풀이된다.
같은 기간 성장성 지표인 매출액증가율은 17%를 기록했다. 2009년 한은이 기록을 시작한 뒤 역대 최고 수치다. 해당 수치는 전년 -1.1%에서 상승 전환했다. 특히 유가 등 국제원자재가격 상승과 2020년 코로나19 수요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석유정제·화학업, 운수창고업 등의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영업이익률은 2020년 4.2%에서 5.6%로 올랐다. 글로벌 수요 증가, 유류 제품의 가격 스프레드 확대 등 대외여건 변화에 힘입어 전자·영상·통신장비업, 석유정제업 및 운수창고업 등을 중심으로 개선됐다.
2021년 말 부채비율은 120.3%로 전년 118.3%보다 악화됐다. 반면 차입금의존도는 2020년 30.4%에서 2021년 30.2%로 소폭 하락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의 부채비율은 2020년 76.3%에서 2021년 78.6%로 상승했다. 반면 차입금의존도는 23.4%에서 22.6%로 하락했다. 전자, 석유·화학 등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원재료 매입에 따른 매입채무와 설비투자활동을 위한 차입금이 증가한 영향이다.
비제조업의 부채비율은 157.3%에서 158.2%로, 차입금의존도는 34.8%에서 35.0%로 모두 상승했다. 전기가스업, 부동산업이 각각 수익성 악화에 따른 회사채 발행 증가 및 도로 등 인프라 건설투자를 위한 차입금 증가 등으로 상승했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겁에 질린 여학생 줄행랑…대학생들 ‘정신 나간’ 이 챌린지 뭐길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강원래와 이혼 잘했다” 악플에 김송 분노 “욕도 아까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제시했던 '코스피5000'…한국 증시 상승 조건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