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브릿지바이오,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중국 임상 1상 완료…“기술료 수령”

대웅제약 단계별 기술료 150만 달러 브릿지바이오에 지급

 
 
[사진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브릿지바이오)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후보물질 ‘BBT-401’의 아시아 기술이전 협력 기업인 대웅제약으로 단계별 기술료(마일스톤) 150만 달러(약 21억원)를 수취했다고 1일 밝혔다.
 
브릿지바이오는 최근 BBT-401의 중국 임상 1상을 마치며 기술료를 받게 됐다. 회사는 지난해 중국에서 BBT-401의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학적 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해 임상 1상을 진행했다.
 
BBT-401은 다양한 염증 신호의 전달에 관여하는 펠리노-1 단백질을 저해해 염증을 억제하는 물질이다. 브릿지바이오는 BBT-401를 펠리노-1 저해제 계열의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경구 투여 시 위장관 내에서 국소 분포하기 때문에 약물이 전신에 노출돼 발생하는 여러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대웅제약은 지난 2018년 말 브릿지바이오와 BBT-401의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중국과 일본, 한국 등 아시아 내 22개 국가에서 BBT-401의 허가 및 사업권을 획득했다.
 
브릿지바이오는 BBT-401 임상 1상을 마친 만큼 아시아 지역 협력 기업인 대웅제약과 임상 개발 및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정규 브릿지바이오 대표는 “최근 BBT-401의 다국가 임상 2상 중·고용량군 시험의 환자 투약을 마무리했다”며 “대웅제약과 협력해 중국 임상 1상까지 완료하게 돼 뜻깊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시장에 안전하고, 치료 효과 및 편의성도 높은 치료제를 선보이겠다”고 했다.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의 점막과 점막하층에 염증이나 궤양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크론병과 함께 대표적인 염증성 장 질환으로 꼽힌다. 북미와 유럽에서 유병률이 높아 ‘선진국형 질병’으로 불린다.
 
최근 생활 방식이 바뀌며 우리나라와 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도 궤양성 대장염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5만2000명의 국내 환자가 궤양성 대장염으로 치료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내 환자는 지난 2010년을 기준으로 45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선모은 기자 suns@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범의료계 특위 첫 회의…의정협의 참여 가능성 대두

27주 이어진 주유소 기름값 하락세…다음주 상승세로 변하나

3월성원전 4호기 사용후핵연료 저장수 2.3톤 바다로 누설됐다는데…

4애플, 유럽에서 자사 기기에 AI 기능 탑재 보류한 이유 알아보니

5美 총기 규제 탄력 받나…미 대법 ’가정 폭력범 총 소유 금지’는 합헌 결정

6엔비디아 주가 3% 하락했지만…전문가들 “반등할 것”

7“이 조합 위험하다”...CU·연세, 우유 넣은 팝콘까지 만들었네

8국내 증시 대신 해외 주식 택하는 개미들... 해외주식 보관액 역대 최대 기록

91960년 한국 평균 합계계출산율 6명, 2022년에 0.78명으로 추락

실시간 뉴스

1범의료계 특위 첫 회의…의정협의 참여 가능성 대두

27주 이어진 주유소 기름값 하락세…다음주 상승세로 변하나

3월성원전 4호기 사용후핵연료 저장수 2.3톤 바다로 누설됐다는데…

4애플, 유럽에서 자사 기기에 AI 기능 탑재 보류한 이유 알아보니

5美 총기 규제 탄력 받나…미 대법 ’가정 폭력범 총 소유 금지’는 합헌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