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11월 소비자물가 5.0%↑…전기·가스·수도, 23%↑ ‘고공행진’
- 통계청 11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10월 대비 0.7%p 떨어져…오름세 둔화 확인
전기·가스·수도 가격은 요금 인상에 높은 오름세 지속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10(2020=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0% 올랐다. 여전히 5%대로 높은 수준이지만 상승률로는 지난 4월의 4.8% 이후 가장 낮았고, 10월 5.7%와 비교해 0.7%포인트나 떨어졌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인 6.3%까지 오른 뒤 8월 5.7%, 9월 5.6%로 떨어졌다. 하지만 전기·가스요금 인상에 10월 5.7%로 다시 오름폭을 확대한 바 있다.
11월 소비자물가를 보면 품목별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0.3% 올라 전월의 5.2%보다 상승 폭이 크게 둔화했다.
농산물은 2.0% 하락했고 채소류는 2.7% 떨어졌다. 다만 축산물은 1.1%, 수산물은 6.8% 각각 올랐다. 농축수산물의 전체 물가에 대한 기여도는 10월 0.46%포인트에서 0.03%포인트로 낮아졌다.
공업제품은 5.9% 올랐지만, 전월의 6.3%보다 떨어졌다. 석유류는 5.6%, 가공식품은 9.4% 각각 올랐다. 석유류 상승률은 지난 6월 39.6%를 기록해 정점을 기록한 이후 7월 35.1%, 10월 10.7%로 낮아지고 있다.
전기·가스·수도는 23.1% 상승했다. 전월 상승률과 같았다. 개인서비스 상승률은 6.2%로 전월 6.4%보다 낮아졌다. 외식은 8.6%, 외식외개인서비스는 4.5% 각각 올랐다.
또 다른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4.3% 올라, 2008년 12월의 4.5% 상승률 이후 가장 높았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가공식품 등 공업제품과 외식 등 개인서비스 그리고 전기·가스·수도 가격이 높은 오름세를 지속했다”라며 “다만 채소 등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등 공업제품 가격의 오름세가 많이 둔화하며 상승 폭은 전월보다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흥국, 나경원 캠프 합류…”보수 뭉쳐야 한다는 마음” [IS인터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제시했던 '코스피5000'…한국 증시 상승 조건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