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업계 “노란봉투법 반대, 노사관계 혼란만 초래”
노동조합법 개정안 입법 중단 촉구 성명서 발표
![](/data/ecn/image/2022/12/07/ecn3919d812-7b02-4292-99c5-a8a510d93ac6.jpg)
자동차산업연합회(KAIA)는 7일 제2차 이사회 및 임시총회를 개최하고 국회에서 야당 단독으로 상정해 논의 중인 노동조합법 개정안의 입법 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KAIA는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자동차공학회,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한국자율주행산업협회, 현대기아협력회, 한국지엠협신회, 쌍용협동회 등이 모인 자동차산업 연합체다.
KAIA는 “국회에서 논의 중인 야당의 개정안은 노동조합법상 사용자의 개념을 확대해 근로계약 관계가 없는 도급업체 사용자와 하도급업체 근로자 간 단체교섭을 강제한다”면서 “노동쟁의의 개념을 확대해 정치파업 등 현행 불법쟁의 행위를 합법화하는 한편, 불법쟁의 행위로 인해 발생한 손해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을 제한하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개정안이 입법화가 된다면 매년 반복되는 파업으로 우리나라 자동차산업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노사관계 불안이 한층 가중될 것”이라며 “직면한 미래차 시대 전환기에 충분한 준비 태세를 갖추지도 못한 채 파업과 점거 등이 난무하는 노사 혼돈의 시대를 다시금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KAIA는 또 “완성차를 중심으로 유기적인 협력 생산체계를 통해 발전해 온 자동차산업이 복잡다단한 단체교섭 구조로 말미암아 잦은 노동분쟁과 그에 따른 노사갈등 증폭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크게 상실할 것이 분명하다”면서 “자동차산업계가 봉착하고 있는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야 할 중요한 시점에 노사관계의 혼란만 초래할 것이 분명한 노동조합법 개정안의 입법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지완 기자 anew@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이민정♥’이병헌, 늦둥이 딸 손잡고 산책... 딸바보 다 됐네
2故 김새론 팬들, 추모 성명문... “잘못에 지나치게 가혹한 대중”
3코스피, 트럼프 관세 정책에도 닷새째 상승…2600대 돌파 코앞
4LF몰, 24일까지 ‘트렌드 프리뷰’…봄 신상 최대 3만원 할인
5“호캉스+생일파티 한 번에!”…더 플라자, ‘해피 벌스데이’ 패키지 출시
6뉴발란스, 2027년 한국 지사 설립한다…이랜드와 라이선스 계약도 유지
7원/달러 환율, 美 소매판매 부진 영향에 소폭 하락
8크림, 티켓 거래 350% 성장…‘문화 소비 플랫폼’으로 진화
9“경기 어려운데 숨통 트이네”...카드수수료 인하에 가맹점주는 대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