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 시장서 경쟁력 상실…갤럭시S23서 엑시노스 배제
하만 등 전장서 시너지 가능성…틈새시장 집중하나

13일 업계에 따르면 내년 초 출시 예정인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23(가칭) 시리즈에는 자체 AP인 엑시노스가 탑재되지 않을 예정이다. 대신 퀄컴의 신형 AP인 스냅드래곤 8 2세대 모델이 전량 채택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앞서 지난달 초 아카시 팔키왈라 퀄컴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올 3분기 실적 발표 설명회에서 “(글로벌에서 출시되는) 갤럭시S23에 퀄컴의 AP(스냅드래곤8 2세대) 적용 비율이 올라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엑시노스를 탑재하지 않는 것에 대해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다수다. 엑시노스가 퀄컴 스냅드래곤 대비 경쟁력이 크게 떨어진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무리하게 자체 AP를 고집할 이유가 없다는 설명이다.
실제 올해 초 출시된 엑시노스 2200은 삼성전자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의 최신 공정인 4나노미터(nm,1nm는10억분의1m) 기반으로 제작돼 많은 기대를 모았으나 수율과 발열 문제 등으로 흥행에 실패했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는 유럽 등 일부 지역 외에 출시되는 갤럭시S22 시리즈에 같은 4나노 공정의 퀄컴 스냅드래곤 8 Gen 1을 탑재했다.

전략 전면수정?
특히 전장의 경우 삼성전자가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사업이라는 점에서 엑시노스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분야 중 하나다. 삼성전자와 하만이 공을 들이고 있는 디지털 콕핏 시스템에 특화된 자체 AP를 탑재하게 되면 시너지를 높일 수 있다. 디지털 콕핏은 운전석과 조수석 전방 영역의 차량 편의 기능 제어장치를 디지털 전자기기로 구성한 장치로, 삼성전자의 ICT 기술과 하만의 전장 기술이 집약돼 있다.
이미 삼성전자는 인포테인먼트용 프로세서 ‘엑시노스 오토 V7’을 LG전자 VS사업본부에서 제작한 폭스바겐의 ICAS 3.1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공급했다. 엑시노스 오토 V7은 인공지능 연산을 위한 신경망 처리장치를 탑재해 가상 비서 서비스·음성·얼굴·동작 인식 기능을 제공한다. 이 외에 선명한 화면을 위한 불량 화소, 왜곡 보정 기술, 이미지 압축 기술을 내장했고 하이파이4 오디오 프로세서 3개를 탑재했다. 차 안에서 음악, 영화, 게임을 즐기기에 적합한 인포테인먼트 환경을 제공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자체 AP의 존재는 모바일뿐만 아니라 전장 분야에서도 상당한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삼성전자가 전장에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는 만큼 시너지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건엄 기자 Leeku@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대선 이슈 '주4일제'…올해 시행했다면 1년에 '절반' 휴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제시했던 '코스피5000'…한국 증시 상승 조건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