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대출이자 못 갚는 수준 간다…주담대 금리 ‘연 8%’ 돌파 눈앞

11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 4.34% ‘역대 최고’
금리 연 3~4% 미만 대출 비중 1년간 ‘56.7%→11.2%’
“대출자 이자상환 부담 커지며 은행 연체율↑”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에 걸린 대출 금리 안내문. [연합뉴스]
은행 대출 금리가 상승을 이어가면서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확대되고 있다. 내년 초엔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가 연 8%를 넘어설 예정이다. 빚을 내 부동산이나 주식 등에 투자하거나 생활비를 충당하고 있는 서민들의 허리가 더 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초 주담대 최고 금리 연 8~9% 전망돼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연합회가 발표한 11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4.34%로 전달보다 0.36%포인트 상승했다. 지난달에도 3.98%로 관련 공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이번에는 처음으로 4%도 돌파해 대출금리 상승을 이끌고 있다.  
 
코픽스는 NH농협·신한·우리·SC제일·하나·기업·KB국민·한국씨티은행 등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다.  
 
코픽스 변동에 따라 은행들은 다음날부터 바로 주담대 변동금리를 반영하는데, 가파른 코픽스 상승에 따라 주담대 금리도 빠르게 오르는 모습이다. 이에 시중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다시 7%대 후반이 됐다. KB국민은행은 연 5.91~7.31%였던 주담대 변동금리를 6.27~7.67%로, 우리은행은 6.56~7.36%를 6.92~7.72%로 올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0월 기준으로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주담대 금리는 연 4.82%, 일반신용대출은 7.22%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주담대 금리는 1.19%포인트, 신용대출은 2.1%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비중이 높은 상황이라 최근 들어 대출자들에 적용되는 금리 수준도 계속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에 따르면 10월 현재 전체 가계대출에서 금리가 연 3%에서 4% 미만에 적용되고 있는 대출 비중은 11.2%에 불과했다. 반면 ▶4~5% 미만 37.8% ▶5~6% 미만 34.6% ▶6~7% 미만 5.4% 등을 기록했다. 금리가 연 3~4% 미만인 대출 비중은 지난해 말에만 해도 56.7%로 전체 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지만 금리가 계속 상승하면서 연말에는 이 비중이 한 자릿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美연준 최종금리 전망 높아져…한은도 더 높일 수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월 15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 금융회의에 참석해 자료를 살피고 있다. [연합뉴스]
대출금리가 내년에도 계속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인상을 이어가면서 한은도 뒤따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연준은 지난 14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한 4.25~4.50%로 운용한다고 발표했다. 금리 인상 속도는 낮췄지만, 내년 최종 기준금리 수준을 5.10%로 상향 조정하며 지속적인 금리 인상 기조를 나타냈다.  
 
연준이 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내놓은 점도표(연준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나타낸 도표)를 보면 FOMC 위원 19명 중 10명이 내년 금리 수준을 5.00~5.25%로 예상했고, 그 외에 5명은 5.25~5.50%, 2명은 5.50~5.75%로 내다봤다.  
 
현재 한은의 기준금리는 3.25%로 미 연준과는 1.25%포인트로 확대된 상황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가 지난달 24일 최종금리 수준에 대한 질문에 “대다수 위원이 3.50%를 제안했다”고 답한 상황에서 연준의 최종금리 수준이 더 높아지면서 한은도 금리를 더 올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럴 경우 은행의 조달비용이 커지면서 코픽스 추가 상승을 유도해 대출금리를 더 높일 가능성이 있다. 이에 은행 업계는 내년 초에는 주담대 최고 금리가 연 8%를 돌파하고 이후 9%까지도 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가계대출에 적용되는 금리 수준도 5~6% 미만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은행 연체율을 높일 것으로 보고 있다.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출 증가율과 금리뿐 아니라 자산 건전성에 있어서도 차주 간의 차이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며 “차주들의 이자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주담대 연체율이 상승하기 시작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가계 연체 규모의 증가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민희진 사태’ 처음 입 연 방시혁 “악의로 시스템 훼손 안 돼”…법정서 ‘날 선 공방’

2“‘치지직’ 매력에 감전 주의”…팝업스토어 흥행

3“자신감 이유 있었네”…‘AI 가전=삼성전자’에 압축된 전략들

4넷마블 '아스달 연대기: 세 개의 세력', 총세력장 결정하는 첫 선거 예고

5“트랙스 공짜로 드립니다”...쉐보레, 특별한 행사 연다

6거래소, 미래에셋·신한·KB자산운용 등 ETF 4종목 21일 상장

7진에어, 임직원 가족 본사로 초청했다

8케이뱅크, 아파트담보대출 등 금리 인하…대환대출 최저 연 3.43%

9HLB 간암 신약 美 승인 불발…"中 항서제약 문제"

실시간 뉴스

1‘민희진 사태’ 처음 입 연 방시혁 “악의로 시스템 훼손 안 돼”…법정서 ‘날 선 공방’

2“‘치지직’ 매력에 감전 주의”…팝업스토어 흥행

3“자신감 이유 있었네”…‘AI 가전=삼성전자’에 압축된 전략들

4넷마블 '아스달 연대기: 세 개의 세력', 총세력장 결정하는 첫 선거 예고

5“트랙스 공짜로 드립니다”...쉐보레, 특별한 행사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