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내년이 불안한 중기, ‘긴축 경영’ 예고 대기업보다 많아

내년도 경영계획 초안도 못 짠 곳 45%
투자‧채용 등 ‘올해 수준 유지’ 많은 점은 안도

 
 
 
지난 10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2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에서 참가자들이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확대경영보다 긴축을 계획하는 국내 기업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자금 사정이 상대적으로 넉넉하지 않은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더 긴축경영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글로벌리서치와 전국 30인 이상 기업 240곳을 대상으로 ‘2023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의 45.8%가 내년 경영계획의 초안도 수립하지 못했다고 답한 것으로 집계됐다. 초안을 수립했다고 답한 기업은 41.3% 수준이었지만, 최종안까지 확정했다고 답한 기업은 12.9%에 불과했다.  
 
주목할 점은 내년도 계획을 세웠다고 밝힌 기업 중 긴축경영을 예고한 곳이 확대경영을 언급한 곳보다 많았다는 것이다. 응답 기업 중 확대경영을 계획한 곳은 9.2%, 긴축경영을 할 것이라고 말한 기업은 22.3%에 달했다.  
 
올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현상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힌 곳이 68.5%에 달해 경영 환경에 대한 불안이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는 평가도 있지만, 문제는 따로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긴축 계획을 더 많이 세우고 있다는 것이다. 대기업 가운데 긴축경영을 예고한 곳은 12.8%, 중소기업은 27.7%로 집계됐다. 반면 확대 경영을 예고한 곳은 대기업이 10.6%, 중소기업은 8.4%로 대기업이 많았다.  
 
전문가들은 대기업보다 투자능력이 떨어지는 중소기업은 장기계획을 세우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경기 전망이 어둡거나 불안하면 투자를 중단하는 일이 많다고 말한다. 반면 대기업은 큰 틀에서 경기 전망이 급변하지 않는 이상 미리 계획했던 투자를 이어가는 경향이 있어 긴축이나 확대 경영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내년 ‘긴축경영’을 예고한 기업들의 경우 전사적 원가절감(72.4%), 유동성 확보(31.0%), 인력운용 합리화(31.0%) 등을 이유로 들었다. 경총은 “내년도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고물가・고금리 지속 등 어려운 경제 상황에 대비해 대다수의 기업이 전사적 원가절감을 통한 비용 감축을 긴축경영의 최우선 순위로 꼽은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자금 상황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50.5%가 ‘내년 자금 사정이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다. 현재는 괜찮지만, 내년에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 기업이 24.2%, 지금은 물론 내년에도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한 곳은 26.3%였다.  
 
이에 따라 투자와 시장도 위축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투자축소(17.7%)를 계획한 기업이 확대를 언급한 기업(15.4%)보다 다소 많았다. 특히 중소기업(21.7%)이 대기업(10.6%)보다 투자를 줄이겠다고 답한 비율이 높았다.  
 
다만 채용 시장에 급격한 한파는 없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올해 수준으로 채용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답한 곳이 61.5%, 채용을 늘리겠다고 답한 기업은 24.6% 수준이었다. 채용을 줄이겠다고 계획한 곳은 13.8%로 집계됐다. 올해 정부가 제출한 법인세제 개편 법안이 통과돼 법인세 부담이 감소할 경우, 응답 기업의 85.0%가 ‘일자리 창출 및 투자 확대’ 같은 기대효과가 예상된다고 답했다.
 
경제가 위축되는 상황에서 상당수 기업은 2024년이 돼야 경기가 회복될 것(51.3%)으로 전망했다. 2023년 하반기라고 답한 기업은 25.0%, 2025년 이후로 예상하는 곳은 22.9%로 나타났다. 내년 상반기에 경기가 살아날 것으로 보는 기업은 0.8%에 불과했다.  
 
경총은 “내년 우리 경제가 1%대의 낮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업들은 내년 투자 및 채용계획을 ‘올해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대내외 불확실성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행보를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롯데관광, 인당 4500만원 럭셔리 골프투어 완판

2아마존, 9일 인터넷 위성 첫 발사…스페이스X와 본격 경쟁

3'노후 걱정? 그게 뭐지' 국민연금 500만원 부부 첫 등장

4트럼프 한국에 25% 상호관세 ‘폭탄’…앞으로 전망은?

5'저속노화' 정희원 교수 레시피 담았더니...'건강 햇반' 터졌다

6"탄핵선고 D-1"…경찰, 서울에 '을호비상' 발령

7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우리투자증권 MTS 홍보대사로 나서

8아마존, 틱톡 인수전에 막판 참여…"주목받는 입찰자로 떠올라"

9KB증권, ‘PRIME CLUB 2025년 상반기 투자콘서트’ 개최

실시간 뉴스

1롯데관광, 인당 4500만원 럭셔리 골프투어 완판

2아마존, 9일 인터넷 위성 첫 발사…스페이스X와 본격 경쟁

3'노후 걱정? 그게 뭐지' 국민연금 500만원 부부 첫 등장

4트럼프 한국에 25% 상호관세 ‘폭탄’…앞으로 전망은?

5'저속노화' 정희원 교수 레시피 담았더니...'건강 햇반' 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