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LG화학, GS EPS와 바이오매스 발전소 설립

여수 화치공장에 3200억원 투자…2026년 상반기 가동 목표

 
 
 
노국래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장(오른쪽)과 정찬수 GS EPS 대표이사가 20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바이오매스 합작발전소 설립 본계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 LG화학]
LG화학이 20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GS EPS와 폐목재로 산업용 증기·전기를 생산하는 바이오매스 발전소 설립을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지난 6월 양사가 주요 조건 합의서(HOA)에 서명한 것의 후속 계약이다.  
 
이번 계약으로 LG화학과 GS EPS는 2026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여수 LG화학 화치공장에 총 3200억원을 투자해 바이오매스 발전소인 여수그린파워를 설립한다. 양사가 합작한 바이오매스 발전소는 국내 가정 및 산업 현장에서 소각‧매립되는 폐목재를 우드칩 형태로 만들어 원료로 사용한다. 폐목재는 산림 자원의 에너지화가 아닌 재활용 불가한 자원으로, 국내와 유럽연합(EU)에서 지속 가능한 바이오매스 원료로 인정받는다.  
 
GS EPS는 국내 최초의 민간 발전사로 친환경 에너지 및 발전 분야에서 축적된 사업 역량과 운영 노하우, 국내 우드칩 공급망 네트워크 등을 보유하고 있다.  
 
여수그린파워는 여수 LG화학 화치공장에 필요한 증기(열원)와 전기를 생산해 연간 40만t 규모의 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소나무 280만 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효과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재생에너지 직접전력거래(PPA)를 통해 LG화학에 판매될 예정이다.
 
정찬수 GS EPS 대표이사는 “GS EPS의 친환경 에너지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넷 제로(탄소중립)를 선도하는 국내 대표 기업인 LG화학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노국래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은 “금번 바이오매스를 통한 탄소 감축은 현재 추진 중인 재활용, 바이오 소재 등 주요 이니셔티브와 함께 203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의협, 전국 6곳서 촛불집회...“전공의·의대생 외로운 싸움 안돼”

2주총 하루 앞둔 아워홈, ‘남매갈등’ 격화...장녀 “대표이사직 오르겠다”

3주가 급등한 SK, 자사주 69만주 소각…매입가 기준 1200억원 규모

4“‘천비디아’의 힘”…서학개미 1위 ‘테슬라’에서 ‘엔비디아’

5넷마블의 비밀병기 ‘레이븐2’는 어떤 게임?

6겨우 숨돌린 조선업계, 눈앞에 놓인 ‘노조 리스크’에 다시 ‘살얼음판’

7하이브 “법원 판단 존중, 임시주총서 ‘민희진 해임’ 찬성 안할 것”

8“고객중심 외치는 ‘보람상조’”…직영 서비스 강화로 책임경영

9尹 “2032년 달에 탐사선 착륙…, 2045년 화성에 태극기 꽂겠다"

실시간 뉴스

1의협, 전국 6곳서 촛불집회...“전공의·의대생 외로운 싸움 안돼”

2주총 하루 앞둔 아워홈, ‘남매갈등’ 격화...장녀 “대표이사직 오르겠다”

3주가 급등한 SK, 자사주 69만주 소각…매입가 기준 1200억원 규모

4“‘천비디아’의 힘”…서학개미 1위 ‘테슬라’에서 ‘엔비디아’

5넷마블의 비밀병기 ‘레이븐2’는 어떤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