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금융당국, ‘대출 금리’ 모니터링 강화…계속되는 ‘관치’ 논란
- 5대 은행 주담대 변동금리 상단 8% 돌파
금융당국, 서민 이자 부담 높아져 관리 강화할 전망
여·수신 금리에 개입하며 시장 자율성 해친다는 지적 나와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대출 금리가 치솟으면서 서민들의 이자 부담이 커지자 금융당국이 이에 금리 모니터링를 강화하기로 했다. 다만 당국이 정기예금 금리 경쟁 자제 요구에 이어 대출 금리 산정에까지 관여할 경우 금융시장 자율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8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최근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상단이 연 8%를 넘어서자 대출 금리 점검에 나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3일 KB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연 5.25∼8.12%를 기록했다. 주담대 금리 상단이 연 8%대를 기록한 것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이다.
금융당국에선 최근 시중은행 정기예금 이자가 연 4%대 초반까지 떨어지며 대출 금리 추가 상승 요인이 적어진 만큼 무리한 대출 금리 인상은 안 된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은행 정기예금 이자는 지난해 11월만 해도 금리 연 5%대 상품이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새해 들어서 연 4%대 초반까지 떨어졌다. 이날 기준으로 NH농협은행의 ‘NH올원e예금’ 최고 금리는 연 4.10%를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30일에는 연 5.10%를 기록한 바 있다.
다만 시장에서는 당국이 코픽스에 연동되는 변동금리 산정에까지 과도하게 개입할 경우 시장 자율성을 해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지난해 7월 은행 별로 예대금리차(예금과 대출 금리 차)를 공시한 후 은행들이 일제히 예금 금리를 인상하는 현상이 발생해 정기예금으로 자금이 쏠렸고, 이에 당국이 같은 해 11월 은행들에 수신금리 경쟁 자제를 요청하며 일관성을 해쳤다는 비판을 받았다.
당시 금융당국은 은행 정기예금에 과도하게 자금이 유입되면 저축은행, 보험사 등 2금융권의 자금조달 어려움이 커져 금융안정을 해친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이후 5대 은행에서 연 5%에 달하는 정기예금 금리가 4%대 초중반으로 떨어졌다.
당국에서는 대출 금리 산정 점검 강화만 아니라 지적을 받아온 예대금리차 공시 문제 해소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수신금리에 대해 은행 간 자율 경쟁을 촉진하고, 대출 금리 산정에 불합리한 점 등을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미·중 관세 협상 수순? 중국선 “우리가 이겼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나솔' 6기 영철♥영숙, 둘째 임신 깜짝 발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애플, 내년부터 미국 판매 아이폰은 모두 인도서 생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3분만에 완판된 일본 신칸센 토큰증권…비결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3상 성공에 HK이노엔, 비만약 신기술에 인벤티지랩 ‘상한가’[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