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센트비, 미국서 송금 서비스 론칭…은행 대비 최대 90% 낮은 수수료

美 이주근로자·교민·유학생, 50여 개 국가에 실시간 송금 가능

외환 송금 핀테크 센트비가 미국에서 해외 송금 서비스를 정식 론칭했다고 10일 밝혔다. 사진은 센트비 로고 이미지. [사진 센트비]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외환 송금 핀테크 센트비가 미국에서 해외 송금 서비스를 정식 론칭했다고 10일 밝혔다.

세계 최대 송금 시장인 미국은 한국과 인도네시아, 싱가포르에 이어 센트비가 현지에서 해외로 송금하는 타발 서비스를 지원하게 된 네 번째 국가다. 2021년 기준 미국에서 해외로 향하는 아웃바운드 개인 해외 송금 규모는 약 727억 달러(약 92조7000억원)로 전 세계에서 가장 크다. 잠재 고객은 3억3000만명에 달한다.

센트비에 따르면 이번 미국 론칭으로 미국 내 한국 교민과 유학생, 각 국가 출신 이주노동자 등은 센트비 송금 서비스를 통해 미국에서 해외로 빠르고 저렴하게 돈을 보낼 수 있게 됐다. 센트비는 현지 은행 대비 최대 90% 낮은 수수료를 책정하고 있다. 송금은 최대 하루 안에 50여 개 국가로 가능하다.

앞서 센트비는 미국 서비스 론칭을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미국 내 인증기관 및 정부 부처, 전통 금융권, 핀테크 파트너사와 협업하며 해외 송금 사업의 토대를 마련했다. 또한 다수의 기술 검증을 거치며 송금 시스템을 구축했다.

최성욱 센트비 대표는 “한국과 동남아 해외 송금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서비스로 많은 사용자들의 호응을 받으며 꾸준히 점유율을 높여왔다”며 “이런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에서도 센트비라면 통할 수 있단 확신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미국 시장 지출은 해외 송금 업체로서의 외형적 성장을 넘어 글로벌 핀테크 사업자로 거듭나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라며 “나아가 캐나다, 호주, 유럽 시장에 진출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비즈니스 영향력 확대에 주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센트비는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유력 핀테크 기업으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세계 최대 규모 핀테크 전시·콘퍼런스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의 하이라이트 행사인 ‘SFF 글로벌 핀테크 어워즈’에서 최 대표가 ‘글로벌 10대 핀테크 리더’에 선정됐다.

지난해 10월에는 금융포용 영역의 글로벌 선도 싱크탱크인 ‘금융포용센터(CFI)’가 금융소외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 솔루션을 가진 핀테크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선정하는 제4회 ‘인클루시브 핀테크 50(IF50)’에 뽑히기도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매우 이례적”...전 세계 홀린 테슬라 모델Y

2 당정, 취약계층 130만 가구에 에너지바우처 5만3000원 지원

3대통령실 “종부세 사실상 폐지 바람직...상속세도 개편해야”

4노소영 “서울대 학생들 실망...지방대 학생들 감동”

5“물가 올랐는데 급여 제자리”...최저시급 1만1000원 이상 희망

6의협 “정부, 3대 요구안 수용하면 집단 휴진 보류”

7 의협 “증원 재논의 없으면 18일 집단 휴진...오늘밤까지 답 달라”

8해킹 당하고 수년간 몰랐다...태그호이어, 韓 고객정보 2900건 유출

9 정부 “진료거부 장기화로 병원 손실 발생하면 구상권 청구 검토”

실시간 뉴스

1“매우 이례적”...전 세계 홀린 테슬라 모델Y

2 당정, 취약계층 130만 가구에 에너지바우처 5만3000원 지원

3대통령실 “종부세 사실상 폐지 바람직...상속세도 개편해야”

4노소영 “서울대 학생들 실망...지방대 학생들 감동”

5“물가 올랐는데 급여 제자리”...최저시급 1만1000원 이상 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