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이자장사’ 5대 은행, 직원 연봉 1억은 기본…상위 10%는 2억 달해
- 최대 실적에 2022년 연봉 더 늘어날 듯
이복현 “성과보수 체계 개선” 주문

15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공개한 주요 시중은행 총급여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직원 평균 총급여(성과급 포함)는 처음으로 각사 모두 1억원을 넘어섰다.
직원 평균 급여는 국민은행이 1억1074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한은행 1억529만원 ▶하나은행 1억525만원 ▶우리은행 1억171만원 ▶농협은행 1억162만원 순이었다.
평균연봉뿐만 아니라 총급여의 중위값도 ▶국민은행 1억676만원 ▶신한은행 1억606만원 ▶하나은행 1억44만원 등으로, 3개 은행이 1억원을 넘었다. 농협은행(9670만원)과 우리은행(9636만원) 또한 1억원에 근접했다.
중위값은 연봉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있는 사람의 총급여를 의미한다. 중위값이 평균연봉과 유사한 것으로 보아, 소수의 초고액 연봉자가 평균연봉을 크게 끌어올린 것은 아닌 것으로 풀이된다.
2021년 직원 상위 10%의 평균연봉은 2억원에 근접한 수준이었다. 국민은행이 1억9784만원이었고, 하나은행 1억9553만원, 신한은행 1억9227만원, 우리은행 1억8527만원, 농협은행 1억7831만원 순이었다.
2022년 평균 급여는 이보다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은행들이 기본적인 임금 인상에 더해 성과급을 속속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농협은행의 경우 기본급(통상임금) 대비 성과급 지급 비율을 2021년 350%에서 2022년 400%로 올리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2021년 300%에서 2022년 361%(우리사주 61% 포함)로 올려 지급키로 했다.
국민은행은 성과급 비율을 300%에서 280%로 내리는 대신 특별격려금 340만원을 지급하기로 해 실제 직원이 받는 금액은 더 늘었다.
고금리로 가계와 기업이 고통을 겪는 가운데 이자 장사로 돈을 번 은행들이 성과급까지 인상하자 비판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또한 최근 임원 회의에서 “은행의 성과보수 체계가 단기 성과에 너무 치우쳐 중장기적으로 내부통제 및 리스크관리 소홀, 금융사고 발생 등 문제점이 초래되지 않도록 은행권과 함께 성과보수 체계의 개선 노력도 지속해달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재명 38%…한덕수·김문수·홍준표 7% [한국갤럽]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태연, 日 도쿄 공연 이틀 앞두고 돌연 취소…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예견된 허가 불발…녹십자 국산 결핵백신 사업, 결국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