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부동산 시장, 당분간 회복 어려워…경제 하방리스크”
부동산 개발기업 수익성 악화
부동산투자 증가율 올해 마이너스

한국은행은 15일 ‘해외경제포커스 : 국제경제리뷰-최근 중국 부동산시장 동향, 정책대응 및 평가’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중국 부동산시장은 주택판매면적, 주택가격 및 신규착공면적이 모두 큰 폭 하락하는 등 부진이 심화되고 있다. 부동산 관련 부문이 중국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25%에 달한다.
부동산 개발기업 부실에 따른 공사 중단, 제로코비드 정책 지속 등으로 소비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주택 판매량 및 가격이 큰 폭 하락했다. 이에 따른 신규착공면적 하락 등으로 부동산 고정투자가 감소하고 전·후방산업이 위축되면서 중국 경제성장에 하방압력으로 작용했다.
또한 수익성 및 자금조달 여건 악화로 부동산 개발기업의 채무불이행이 증가하는 등 관련 유동성 리스크가 확대됐다.
실제로 상장된 중국 부동산 개발기업 72개의 작년 상반기 매출액은 1조9000위안 수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6% 감소했고, 순이익은 670억위안으로 62.5% 급감했다.
게다가 부동산 개발기업 중 상당수가 3대 레드라인 미준수로 신규 차입 규제대상으로 분류되는 등 자금조달 여건도 악화됐다.

이에 중국 당국은 지난해 11월 이후 종합부양책 및 유동성 지원 확대 등으로 적극 대응하고 있다. 이는 부동산경기에 상방 요인으로 작용하겠으나, 저조한 소비심리 및 정책효과의 파급시차 등을 고려할 때 회복세로 빠르게 전환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당국의 정책대응 확대에도 불구하고 올해 중 중국 부동산투자 증가율은 -5.0~-7.5% 수준의 감소세를 나타낼 것으로도 전망된다.
한국은행 중국경제팀 관계자는 “중국 부동산시장은 당분간 회복세를 나타내기 어려워 보이며, 중장기적으로도 중국 경제에 하방 리스크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2023년까지 부진이 이어지면서 중국 금융시장 및 경제성장에 하방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아마존, 9일 인터넷 위성 첫 발사…스페이스X와 본격 경쟁
2'노후 걱정? 그게 뭐지' 국민연금 500만원 부부 첫 등장
3트럼프 한국에 25% 상호관세 ‘폭탄’…앞으로 전망은?
4'저속노화' 정희원 교수 레시피 담았더니...'건강 햇반' 터졌다
5"탄핵선고 D-1"…경찰, 서울에 '을호비상' 발령
6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우리투자증권 MTS 홍보대사로 나서
7아마존, 틱톡 인수전에 막판 참여…"주목받는 입찰자로 떠올라"
8KB증권, ‘PRIME CLUB 2025년 상반기 투자콘서트’ 개최
9韓대행, 美 상호관세 부과 발표에 긴급회의…"범정부 긴급 대책 마련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