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GDP 0.4% 감소…10분기만에 ‘역성장’
민간소비·수출부진 영향
연간 성장률은 2.6%…전망치 부합

한국은행은 2022년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기대비·속보치)이 0.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6일 발표했다.
한국 경제 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여파가 본격화했던 2020년 2분기 3.0% 감소한 뒤 10분기만이다.
한국경제는 지난해 4분기 역성장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는 2.6% 성장했다. 이는 당초 한은의 전망치에 부합한 것이다.
한국경제의 연간 성장률은 2019년 2.2%에서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2020년에는 0.7% 감소해 역성장했다. 이후 2021년에는 4.1%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2분기 2.9%, 3분기 1.7%에서 4분기에는 -0.4%로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가전제품, 의류 및 신발 등 재화와 숙박음식, 오락문화 등 서비스 소비가 줄어든 영향이다.
설비투자는 2.3% 늘어나는 데 그쳐 3분기 7.9% 대비 증가 폭이 크게 감소했다.
수출은 반도체와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5.8% 줄었고, 수입은 원유와 1차 금속제품 등이 줄면서 4.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지난해 4분기 정부소비는 물건비,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을 중심으로 3.2% 증가, 3분기 0.1% 대비 증가 폭이 확대됐다.
건설투자는 3분기 0.2% 줄며 부진했지만, 비주거용 건물건설 등으로 중심으로 0.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분기 경제 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를 살펴보면 민간소비가 -0.2%포인트, 순수출이 -0.6%포인트로 집계됐다. 민간소비와 순수출이 성장률을 0.8%포인트 끌어내렸다는 의미다.
반면 정부소비 기여도는 0.6%포인트, 건설투자 0.1%포인트, 설비투자 0.2%포인트 등은 성장률을 높였다.
민간의 성장률 기여도는 -1.1%포인트, 정부는 0.8%포인트로 나타나 정부소비 등이 성장률 추가 하락을 막은 것으로 풀이된다.
경제활동별 성장률을 살펴보면 지난해 4분기 건설업은 1.9%, 농림어업은 1.5%, 서비스업은 0.8% 증가했지만 제조업은 4.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실질 GDP의 감소(-0.4%)에도 불구하고, 교역조건이 개선되면서 0.1%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1분기 0.5% 이후 3분기 만에 플러스를 나타냈다.
그러나 유가 상승 등 교역조건 악화로 지난해 연간 실질 GDI는 전년 대비 1.1% 감소, 실질 GDP 성장률을 하회했다.
실질 GDI는 2019년 0.1% 감소한 뒤 2020년(0.0) 제자리걸음을 했고, 2021년에는 3.1% 증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관위 등 공공영역 채용 비리, 해답은 국가채용원이다
2소프트 AI 시대, 투자 접근은 어떻게 해야 할까
3지식 노동도 기계로 대체되는 시대?...AI에이전트와의 불편한 동행
4제1166회 로또 1등 '14, 23, 25, 27, 29, 42'… 보너스 '16'
5 경찰, 서울 '을호비상' 해제…'경계강화'로 조정
6“감정이 ‘롤러코스터’ 탄다”…조증과 울증 사이 ‘양극성 장애’
7아동성착취물 6개국 특별단속 435명 검거…“10대 57%, 가장 많아”
8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났다…“어려운 시기에 고맙다”
9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