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현안 해결 언제쯤?…기시다 “尹대통령 G7 정상회의 초대 결정 안 돼”
지난해 회담 통해 양국 현안 조기 해결 합의
“새로운 러시아 제재안도 제시할 예정”
“세계 유일 피폭국으로 핵군축 논의 주도할 것”

기시다 총리는 이날 총리관저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사태 1년 계기 기자회견에서 G7 정상회의에 윤 대통령을 초대할 것이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
그는 “G7 정상회의 초대국에 대해서는 현재 검토 중”이라며 “현재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는 한일 간 최대 현안으로 꼽히는 일제 강제동원(징용) 노동자 문제와 관련해서는 “지난해 11월 한일 정상회담에서 윤 대통령과 양국 현안의 조기 해결을 꾀하기로 일치했다”며 “현재 외교당국 간 협의가 가속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쌓아온 우호·협력 관계를 기반으로 양국 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고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한국 정부와 긴밀히 의사소통하겠다”며 “(징용 등 한일 현안 해결을 위해) 계속 노력하는 단계”라고 덧붙였다.
또 기시다 총리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히로시마 G7 정상회의에 초대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초대국에 대해서는 관계국과 의견교환을 하면서 의장국으로서 검토하고 있다”며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일본은 올해 G7 정상회의 의장국이다. 기시다 총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년을 계기로 이날 밤 11시(한국시간)에 열리는 온라인 G7 정상회의에는 젤렌스키 대통령을 초대했다.
기시다 총리는 “(온라인 G7 정상회의에서) G7의 결속을 확인하고 (우크라이나) 부흥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해 정상 간에 집중적으로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새로운 러시아 제재에 대한 생각을 제시하겠다”며 “아울러 제3국의 러시아 군사 지원이 지적되고 있는 것에 근거해 그런 지원을 중단하라고 호소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의 제3국 군사지원 중단 발언은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하고 있는 이란과 살상 무기 제공 검토하고 있다고 미국이 지적한 중국을 겨냥한 발언으로 보인다고 일본 언론은 전했다. 또한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미국과의 핵군축 조약인 신전략무기감축협정(New START·뉴스타트) 이행 중단을 선언한 데 대해서도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그러면서 기시다 총리는 “세계 유일의 전쟁 피폭국으로서 핵군축 논의를 주도하겠다”면서 “G7 히로시마 정상회의를 ‘핵무기 없는 세계’를 목표로 하는 기운을 북돋는 계기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배민 서비스 해지”...자영업자, 포장 수수료 부과에 반발
2"참가자미와 토종견도 캐릭터로!" 경주시, 상징물 라인업 확장
3"축제는 잠시 멈추고, 치유와 공감" 영양산나물 먹거리 한마당 개최
4"역사와 봄나들이 한번에!" 대구 달성군, 현풍 인문학 투어버스 운영
5경북도 "과기부와 손잡고 500억 규모 기술투자 펀드 만든다"
6"나무를 심다, 역사가 되다" 한국 산림녹화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7경북 동해안,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8대구시 버스노선 개편에 민원 급증... "시의회서 개선 촉구"
9삼쩜삼·국세청 이어 세무사회도 가세...‘국민의세무사’ 앱 나온다